KAIST, 생체 부산물 ‘요소’ 활용 자가 추진
차세대 세포 기반 치료 원천기술 활용 기대

외부 동력 장치나 복잡한 기계구조 없이 자가 추진이 가능한 생명체 기반 세포로봇 개발 기술이 제시됐다. 정밀한 약물 전달이나 생체친화적인 치료법 개발의 원천기술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30일 KAIST 화학과 최인성 교수 연구팀에 따르면 이번에 구현된 세포로봇은 방향성을 갖고 스스로 이동할 수 있으며 원하는 물질을 운반하거나 주변 환경 제어 기능을 탑재할 수 있는 다기능성 플랫폼이다. 생체 부산물인 ‘요소(urea)’를 연료로 사용한다.
연구팀은 우선 생명체 스스로 만들어내는 물질을 활용할 수 있는 ‘효모’에 주목했다. 제빵과 막걸리 발효에 사용되는 효모(이스트, yeast)는 포도당을 분해해 에너지를 얻는 대사 과정에서 알코올(에탄올)을 부산물로 생성하는데 이때 생성된 에탄올을 활용해 효모 표면에 생체친화적인 방식으로 나노 껍질을 형성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개발했다. 이어 세포를 감싸는 나노껍질에 우레아제(urease)를 부착, 세포로봇의 움직임을 관찰했다. 우레아제는 요소를 분해하는 촉매 역할을 하는데 세포로봇이 스스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동력을 만들어내는 핵심 역할을 수행하며 비대칭 구조를 가진 세포로봇이 보다 명확한 방향성을 갖고 자가 추진하는 현상을 확인했다.
세포로봇은 세포 주위에 존재하는 물질만으로 자가 추진이 가능하고 자석이나 레이저 등 복잡한 외부 제어 장치에 의존하지 않아 구동 메커니즘이 훨씬 간단하고 생체친화적이다. 또 나노껍질에 다양한 효소를 화학적으로 접합할 수 있어 다양한 생체 물질을 연료로 활용하는 세포로봇의 확장 개발도 가능하다.
이번 연구의 제1저자인 김나영 박사과정은 “향후 암세포 표적 치료나 정밀 약물전달시스템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6월 25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이기준 기자 lkj@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