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임대 및 분양 주택 공급 확대 등 필요

청년층의 ‘내집 마련’에 있어 가장 큰 걸림돌은 ‘경제적 부담’인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터 컨설팅 기업 ㈜피앰아이(PMI)가 자사 온라인 패널인 ‘위즈패널’을 통해 청년 주거 인식을 조사(만19∼34세 남녀 1000명)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42.6%가 내집 마련 계획이 있다고 응답했다. 아직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29.3%, 계획하고 있지 않다는 응답은 22.8%였고 이미 주택을 보유한 응답자는 5.3%에 그쳤다.

결혼 여부에 따른 차이도 확인됐다. 기혼 응답자의 59.4%가 내집 마련을 계획 중인 반면 미혼 응답자 중에서는 39.5%만이 같은 계획을 갖고 있었다. 내집 마련 계획이 있는 응답자에게 실현 가능 시점을 묻자 ‘3년 이내’라고 답한 비율이 31.4%로 가장 높았으며 ‘5년 이상’(25.3%), ‘5년 이내’(22.8%), ‘1년 이내’(12%) 등의 순이었다.

내집 마련 계획이 없는 응답자들에게 그 이유를 묻자 ‘경제적 여유 부족’이 57%로 가장 많았다. 이어 ‘집값 상승’(17.1%), ‘대출 상환에 대한 부담’(8.4%) 등 경제 요인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이외에도 ‘현재 주거에 대한 만족’(6.1%), ‘결혼·자녀 교육 등 다른 우선순위’(5.7%), ‘내집 마련의 필요성을 느끼지 않아서’(5.7%) 등의 응답도 있었다.

청년층이 생각하는 가장 현실적인 내집 마련 방식은 ‘주택청약’(29.9%)이었다. 다음으로 ‘주택담보대출·전세자금대출 등 금융 활용’(25.8%), ‘청년 대상 주거 정책 활용’(18.7%), ‘장기 저축 및 투자’(13.4%), ‘가족의 지원’(11.6%), 기타(0.6%)가 뒤를 이었다. 내집 마련을 위한 경제적 부담을 묻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76.6%가 ‘부담을 느낀다’고 답했으며 이 중 43.8%는 ‘매우 부담된다’고 밝혔다.

정부의 청년 주거 정책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항목으로는 ‘공공임대 및 분양 주택 공급 확대’가 21%로 가장 많았고 ‘저소득·무주택 청년 대상 맞춤형 지원’(20.7%), ‘전세 및 주택 구매 금융 지원’(20.6%)이 뒤를 이었다.

이기준 기자 lkj@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