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전문가 중심 협의체 구성
수련 환경 개선·연속성 보장 등
대전협 비대위 새 요구안 의결

<속보>=지난해 2월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정책에 반발해 수련병원을 떠났던 전공의들이 정부와의 협상 테이블에 올릴 요구안을 공식 확정했다. 전공의들이 1년 5개월 만에 복귀하기 위한 3대 대(對)정부 요구안으로 공은 이제 정부의 응답과 제도적 수용 여부로 넘어갔다. <본보 7월 14일자 5면 등 보도>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19일 대한의사협회 회관에서 임시대의원총회를 열고 3대 대정부 요구안을 가결했다. 요구안에는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재검토를 위한 현장 전문가 중심의 협의체 구성, 전공의 수련 환경 개선 및 수련 연속성 보장, 의료사고에 대한 법적 부담 완화를 위한 논의기구 설치 등 세 가지 사안이 담겼다. 총회엔 전체 대의원 177명 중 138명이 참석했는데 이 중 찬성 124명, 반대 8명, 기권 6명으로 요구안이 최종 의결됐다.
이번 요구안은 지난해 대전협이 내놓았던 7대 요구안보다 간결하게 압축된 형태다. 당시에는 의대 2000명 증원 전면 백지화와 의사 수급 추계 기구 설치, 업무개시명령 폐지 등도 포함돼 있었다. 대전협이 이를 줄인 건 협상력 확보를 위해 우선순위를 조정한 것으로 풀이된다.
전공의 복귀 논의는 정부와 의료계 모두에서 구체화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전공의들의 요구를 반영해 수련협의체 구성을 검토하고 있고 입영 연기와 전문의 시험 추가 시행 등의 방안도 내부 논의 중이다. 정은경 복지부 장관 후보자는 지난 18일 인사청문회에서 “전공의들이 질 높은 수련을 받을 수 있도록 신속하게 논의 구조를 마련하겠다”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한성존 대전협 비대위원장은 “이번 요구안은 정부와의 공식 협상에서 중심 의제가 될 것이다. 신뢰를 회복하고 양질의 수련 환경을 조성해 중증·핵심의료 재건에 필요한 젊은 의사들의 목소리를 정부에 전달하겠다”라고 말했다.
의료계 내부에서도 전공의 복귀를 위한 교류가 이어지고 있다. 의협과 대전협, 대한수련병원협의회 등은 최근 간담회를 열고 수련 환경 개선과 복귀 절차를 논의했다. 대한의학회도 수련 기간과 시험 일정 조정을 놓고 입장 차를 좁히는 데 나섰다. 대전협은 향후 수련 재개를 위한 방안 논의와 지역 의료 현실에 대한 의견 수렴을 토론회 형태로 이어갈 계획이다. 다만 임시대의원총회에서는 요구안만 확정했을 뿐 전공의들의 복귀 시점이나 계획은 발표하지 않았는데 이달 말 시작될 하반기 전공의 모집을 앞두고 복귀 논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이준섭 기자 ljs@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