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대학교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정재욱 교수와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호흡기내과 박연희 교수 공동연구팀이 폐암 면역항암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인자와 정밀의료 적용 가능성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환자별 반응 차이로 인해 임상에서 난제로 꼽히던 면역항암제 치료와 관련해 종양 미세환경(TME)뿐 아니라 환자의 전신 상태, 대사, 동반 질환 등 종양 거대환경(TMaE)의 영향력을 관찰했다.
또 세포외기질(ECM)의 강도와 기계적 신호가 면역 회피에 미치는 작용을 소개하고 오가노이드와 장기-온-어칩(organ-on-a-chip) 기술을 활용한 정밀 치료 가능성을 제시했다.
연구는 국제학술지 Lung Cancer 최신호에 게재됐으며 논문 제목은 ‘폐암 면역항암치료를 위한 종양 거대환경·미세환경의 통합: 오가노이드 및 장기-온-어칩 모델 기반 접근’이다.
이준섭 기자 ljs@ggilbo.com
이준섭 기자
ljs@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