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병관리청은 올해 8월 이후 비브리오패혈증 환자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며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을 위해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비브리오패혈증은 브리오패혈증균에 오염된 어패류를 생식하거나 상처 난 피부가 오염된 바닷물에 접촉할 때 감염된다. 매년 해수 온도가 상승하는 8~10월 사이에 환자가 집중적으로 발생하는데 실제로 5월 1명, 6월과 7월 각 2명이던 비브리오패혈증 환자가 8월 들어 14명으로 급증했다.
감염 시 급성 발열, 오한, 혈압 저하, 복통,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동반되고, 증상 시작 24시간 내에 다리에 발진, 부종, 수포 등의 피부병변이 생긴다. 올해 비브리오패혈증 누적 환자는 19명(사망 8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누적(21명) 대비 9.5% 감소했으나 치명률은 42.1%로 여전히 높았으며, 사망한 환자들은 모두 간 질환, 악성종양, 당뇨병 등 기저질환을 가진 비브리오패혈증 고위험군이었다.
만성 간 질환, 당뇨병, 알코올 의존 등 기저질환이 있는 사람들은 비브리오패혈증 고위험군으로, 피부에 상처가 있는 경우 바닷물 접촉을 피하고 어패류는 반드시 익혀서 섭취해야 한다.
박동규 기자 admin@ggilbo.com
박동규 기자
admin@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