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홈플러스 본사 전경
사진 = 홈플러스 본사 전경

국민연금이 사모펀드 MBK파트너스를 통해 투자한 홈플러스 자금이 대규모 손실 위기에 처한 가운데, MBK가 뒤늦게 2000억 원 규모의 추가 지원을 발표하고 대국민 사과에 나섰다.

국회입법조사처가 발표한 ‘2025 국정감사 이슈 분석’에 따르면, 국민연금은 지난 2015년 MBK가 홈플러스를 인수할 당시 총 6121억 원을 투자했다. 이 중 295억 원은 보통주, 5826억 원은 상환전환우선주(RCPS) 형태였다. MBK는 인수 이후 홈플러스의 점포를 매각한 뒤 재임차하는 ‘세일 앤 리스백(Sale and Leaseback)’ 방식으로 단기 수익을 실현했고, 이를 기반으로 투자자에게 고배당을 실시했다. 그러나 이 전략은 홈플러스의 장기 경쟁력을 훼손했고, 결국 지난 3월 홈플러스는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다.

이에 따라 국민연금이 보유한 보통주는 전액 손실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RCPS 회수 가능성도 불투명해졌다. 국민연금 측은 아직 회수하지 못한 자금의 공정가치가 약 9000억 원에 이를 수 있다고 밝혔다. 특히 RCPS 투자금 5826억 원 중 회수된 금액은 3131억 원에 불과하며, 현재 미회수 원금은 2695억 원이다.

이번 사태는 국민연금 대체투자 부문의 구조적 문제를 드러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현재 국민연금은 주식과 채권 투자에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요소를 반영한 책임투자 기준을 적용하고 있으나, 사모펀드 등 대체투자에는 해당 기준이 적용되지 않았다. 그 결과 단기 수익을 좇는 운용사에게 국민의 노후자금이 위탁되는 구조적 허점이 방치됐고, 이번 사례처럼 수익은 사유화되고 손실은 국민에게 전가되는 결과를 낳았다는 비판이 나온다.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MBK 내부에서도 위기감이 커진 것으로 알려졌다. 홈플러스의 새 인수자가 나타나지 않은 상황에서, 회생 절차가 실패할 경우 펀드 자체가 해산되고 MBK 하우스의 존립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결국 MBK는 지난 24일 대국민 사과문을 발표하고, 홈플러스에 최대 2000억 원을 증여 형태로 추가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 재원은 향후 MBK가 얻게 될 수익의 일부에서 마련할 계획이다.

이번 조치는 김병주 MBK 회장이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및 관련 부처와 비공개 간담회를 가진 이후 닷새 만에 이뤄진 것이다. 정치권과 정부 관계자들 사이에선 홈플러스 문제를 해결하려면 인수합병(M&A)이 반드시 성사돼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으며, MBK는 사회적 책임 차원에서 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위원회 설립도 약속했다. 이는 국내 사모펀드 운용사로서는 전례 없는 조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홈플러스 매각은 아직 구체적인 진전이 없는 상태다. 원매자 실사는 시작되지 않았으며, 서울회생법원이 회생계획안 제출기한을 오는 11월 10일까지 연장했지만, 이후 추가 연장은 어렵다는 전망이 나온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MBK가 최대주주인 롯데카드에서 대규모 해킹 사고가 발생하면서, MBK에 대한 사회적 비난 여론은 더욱 거세지고 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는 해당 사건과 관련해 MBK 부회장과 롯데카드 대표를 소환했다.

이번 사태는 국민연금이 수년 전부터 지적받아온 책임투자 기준의 사각지대를 방치한 결과라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대체투자 부문에 대한 공적 감시 체계가 미비한 상황에서 수익성 중심의 운용이 계속된다면, 향후에도 유사한 사례가 반복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국민연금은 사태 발생 이후에야 책임투자 기준을 대체투자에도 확대 적용하겠다고 밝혔지만, 이미 지난 2022년 국정감사에서 지적됐던 문제라는 점에서 늦장 대응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