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청문회 예정인 가운데 “曺 사퇴안하면 탄핵”
민주당 “당론 아니”라며 우선 거리두기

이른바 ‘희대의 재판’이라 불리는 사법부의 선거 개입을 두고 더불어민주당이 강경파를 중심으로 공세 수위를 점차 높이고 있다.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의원들이 오는 30일 열릴 ‘조희대 대법원장 청문회’ 개최를 강력하게 옹호하면서 조 대법원장을 압박했다.
법사위 민주당 간사인 김용민 의원은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조 대법원장 청문회가 30일 열리는 건 국회법을 이행하는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국회법에 특정 사안에 질문하기 위해 대법원장, 헌법재판소장, 중앙선거관리위원장, 감사원장을 부를 수 있다. 명시적으로 돼 있기 때문에 마치 큰 잘못이거나 삼권분립 위반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성윤 의원과 김기표 의원도 각기 다른 라디오에 출연해 조 대법원장에 대한 탄핵에 대해 “국민 여론이 비등하면, 어느 정도 임계점에 이르면 폭발하는 것이고 그러면 정치인은 국민의 요구에 따라서 할 수밖에 없다. 만약 사퇴하지 않는다면 국회에서 할 수 있는 수단은 당연히 탄핵이다”라고 입을 모았다.
이처럼 민주당 내 강경파를 중심으로 조 대법원장을 향한 압박 수위를 높여가는 가운데 범여권인 조국혁신당은 더 수위 높은 수위로 공세에 나서는 중이다. 지난 17일 조 대법원장 탄핵 소추안을 준비 중이라 밝힌 혁신당은 25일 대법원을 항의 방문할 계획이다.
다만 민주당은 이에 대해 당론은 아니라는 의견을 내놓으며 우선 거리를 두고 있다. 법사위원들이 조 대법원장과 한덕수 전 국무총리 회동 의혹을 제기하며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으나 회동 의혹의 토대가 된 녹취의 음성이 인공지능(AI)으로 만들어졌다는 주장이 나오며 진위를 살피는 중이다. 확실한 근거 없이 조 대법원장을 향한 공세가 이어진다면 야당이 주장하는 ‘사법부 흔들기’라는 빌미를 제공할 수 있어서다. 과거 ‘청담동 술자리’ 제보가 거짓이었던 만큼 신중히 처리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한편 민주당 문금주 원내대변인은 조 대법원장 청문회에 대해 “원내 지도부와 사전에 상의는 안 됐고 법사위 의결이 된 것으로 사후 통보 받았다”라고 밝혔다.
김현호 기자 khh0303@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