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가 최근 대규모 업데이트로 논란이 된 카카오톡 개편과 관련해 기술적 한계로 인해 완전한 복구(롤백)는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다만 이용자 불만을 반영해 일부 기능은 개선할 방침이다.
우영규 카카오 부사장은 지난 1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기술적으로 이전 버전으로 완전히 되돌리는 것은 어렵다”며 “다만 이용자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검토 중이며, 조만간 개선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우 부사장은 “2.0에서 1.0으로 돌아간다는 개념이 아니라, 2.0에서 2.1 등으로의 보완”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최근 발표한 친구 탭을 첫 화면으로 되돌리는 개선안 이상은 어렵다는 점을 시사한 발언이다.
앞서 카카오는 지난달 29일, 대규모 카카오톡 업데이트를 통해 기존 ‘친구’ 탭 중심 구조를 SNS 피드 형태로 전환했다. 친구의 프로필 사진이나 활동을 인스타그램처럼 피드 형태로 보여주는 방식으로 바뀌었고, 이 피드 중간에는 광고 콘텐츠와 숏폼 영상 등이 삽입됐다.
업데이트 이후 카톡 첫 화면이 피드로 전환되고, 기존 친구 목록은 옆으로 밀리면서 이용자들의 불만이 급증했다. 특히 원하지 않는 게시물을 강제로 시청하게 되는 구조와 관련해 사전 고지 부족, 미성년자에게 부적절한 콘텐츠 노출 우려 등이 제기됐다.

이날 국감에서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업데이트 이후 숏폼이 강제로 송출돼 학부모로서도 당황스러웠다”며 “오픈채팅방에 들어가려면 숏폼 영상을 먼저 봐야 한다. 이는 디지털 공해를 넘어선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황 의원은 “업데이트를 주도한 카카오 CPO(최고제품책임자)가 비판 글을 삭제 요청하는 등 이용자 반응을 억누르려 했다는 주장도 있다”며, “카카오톡에 신뢰를 보냈던 이용자에게 뒤통수를 친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우 부사장은 “이용자 불편 사항을 수렴하고 있으며 조만간 개선할 예정”이라며, 미성년자 관련 정책에 대해서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가이드라인에 따라 만 14세 미만 이용자의 행태정보는 수집하지 않고 있다”고 해명했다.
성인 이용자의 경우 비식별 행태정보를 수집 중이며, 추후 맞춤형 콘텐츠나 광고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단, 활용 시에는 관련 법령에 따라 사전 동의를 받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카카오톡 개편 논란은 소셜미디어와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급속히 확산됐고, 카카오 주가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자, 카카오는 업데이트 단행 6일 만에 연말까지 일부 기능을 되돌리겠다는 입장을 발표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