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회 산건위 행감서 박주화·김선광 의원 지적

대전시의회가 과학수도 대전의 위상을 우려했다. 대규모 관련 사업이 전무하단 의미에서다.
시의회 산업건설위원인 박주화 의원(국민의힘·중구1)은 지난 7일 열린 미래전략산업실 대상 행정사무감사에서 “전국 자치단체는 인공지능(AI) 국책사업 확보 경쟁에 나서고 있지만 과학수도 대전만이 조용하다. 시의 AI 산업 대응 전략 부재다”라고 일갈했다. 이어 “전북·경남·광주·대구 등은 예타 면제 형태로 수천억 원 규모의 AI 대형 사업을 유치하고 있다. AI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대전이 미래 산업의 주도권을 잃지 않으려면 조속히 대전형 AI 육성 비전과 실행계획을 마련해야 한다”라고 촉구했다.
김선광 의원(〃·중구2)은 대전과학산업진흥원의 이전 부지 활용과 정부의 5극 3특 국가균형발전 전략에 대전시의 6대 핵심전략산업이 포함되지 않은 걸 우려했다. 김 의원은 “진흥원이 이전한 부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종합운동장 부지를 연계해 개발하기로 했지만 5개월이 지나도록 진척이 없다. 부지 매각 협의가 지연되면 충북 오송 등 인근 시·도가 유사 사업을 선점할 우려가 있다”라고 말했다.
정부의 5극 3특 국가균형발전 전략 추진과 관련해선 “대전의 6대 전략산업 중 양자산업이 성장엔진 산업에서 제외된 것은 심각한 문제다. 대전은 연구개발 중심 도시로서 충남·충북의 제조 인프라와 연계한 중부권 핵심 성장축이 돼야 한다. 충청권의 협력 구조가 느슨한 사이 다른 지역은 이미 정부 네트워크를 선점했다”라고 지적했다.
김현호 기자 khh0303@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