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둔산여고에서 시작된 조리사들의 파업이 다른 학교로 번지면서 갈등이 계속되고 있다. 학생과 학부모들의 원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대전시교육청과 조리사들간 주장은 접점을 찾지 못하고 난항이다. 이런 가운데 연말 협상을 앞두고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가 총파업을 예고하고 있어 사태 확산이 우려된다.
10일 대전시교육청에 따르면 조리사들이 파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교는 모두 7곳이다. 이 중 3곳은 도시락을 지급 중이고 다른 1곳도 조만간 도시락으로 변경될 가능성이 높다. 나머지 3곳은 급식은 제공되고 있지만 평소보다 적은 인원 탓에 일하는 사람들의 업무가 가중되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애초 갈등의 시작 학교인 둔산여고는 조만간 수학능력시험을 보는 학생들을 배려해 교직원들이 조리에 나서고 있다. 둔산여고 조리사들은 지난 4월 초부터 쟁의 행위를 하다 지난 9월 말부터 9명 중 7명이 파업에 들어간 상태다.
전국의 많은 도시 중에 왜 대전의 학교에서 급식문제가 불거져 나왔는지 궁금하다. 물론 광주 등 다른 도시 학교들 중 일부도 급식을 놓고 조리사들과 갈등을 빚고는 있지만 대전 만큼 심하지도 장기적으로 이어진 곳은 없다.
문제의 둔산여고의 경우 학생수 743명으로 교직원을 포함해도 조리사 1인당 식수인원은 100명 내외다. 전국 평균(115명)보다 낮지만 조리사들은 화상, 관절염 등 노동 강도가 높다고 주장한다. 조리사들은 주 3회 튀김류 초과, 냉면기 사용, 뼈 삶는 행위 금지 등을 요구하고 있고, 학교 측은 질 저하가 우려된다며 석식 제공 중단을 결정했다.
이 학교의 급식 갈등은 급기야 다른 초·중학교로 번지면서 7곳이 정상적인 급식을 하지 못하고 있다. 조리사들과 시교육청과의 협상도 제대로 되지 않으면서 급식 사태는 7개월 째로 접어들고 있다. 해당 학교의 학생과 학부모들만 피해를 보고 있는 셈이다.
물론 학교 급식 조리사 처우문제는 개별 교육청이 해결하기 힘든 것은 사실이다. 조리사 뿐 아니라 교육공무직은 17개 시도교육청 집단임금협약을 체결해 결정하기 때문이다. 대전시교육청은 이런 점을 들어 협상에 한계가 있다고 하소연한다. 그렇지만 왜 대전이 유독 학교 급식을 놓고 다른 도시보다 더 갈등이 큰지 묻지 않을 수 없다.
혹시 학교와 교육청 등 교욱당국과 조리사들간 감정이 개입돼 사태를 악화시키지는 않았는지 자문해볼 일이다. 조리사들의 처우 문제는 충분히 개선돼야 한다. 그렇지만 국을 그릇에 담는지 여부 등을 놓고 갈등을 벌이는 모습은 어린 학생들 보기에도 민망할 정도다. 조리사와 교육 당국은 냉정을 되찾고 합리적인 선에서 타협해 학생들의 건강권을 지켜주기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