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7% “장애인시설 설립 반대 안해”
2년전보다 0.4%p↑ 수용성 확대

▲ 사진=챗GPT 제작

우리 사회의 장애인 인식과 관계는 점차 개선되고 있지만 복지 정책의 체감 수준은 여전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데이터처가 11일 발표한 2025년 사회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1년간 장애인과 지속적으로 관계를 맺고 있다고 답한 비율은 18%로 2년 전(16.9%)보다 1.1%p 증가했다. 관계 유형은 가족이 56.3%로 가장 많았고 친구·이웃(20.2%), 친척(11.5%) 순이었다. 연령별로는 50대(21.8%)가 가장 높은 교류율을 보였고 청소년(13~19세)은 16.4%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세대 간 교류 격차가 드러난 부분으로 장애 인식 개선 교육과 통합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엿보이는 대목이다.

주목할 점은 응답자의 87.8%가 집 근처 장애인시설 설립을 반대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는 2023년(87.4%)보다 0.4%p 높아진 수치로 지역사회 내 수용성이 꾸준히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비장애인의 찬성 비율은 87.7%, 장애인은 90.4%로 집계됐다.

복지 정책에 대해서는 ‘계속 확대해야 한다’ 24.9%, ‘재원이 충분하다면 확대해야 한다’ 41.9%로 조사됐다. 장애인 응답자(34.4%)는 비장애인(24.5%)보다 즉각적인 복지 확대를 더 강하게 요구했는데 비장애인은 ‘재원이 충분하다면’이라는 전제를 단 것이 특징이다. 복지 확대가 필요한 분야로는 돌봄(27.3%), 의료·재활(17.6%), 일자리·자립자금(15.6%)이 많이 거론됐고 장애인은 연금·수당(28.4%), 비장애인은 돌봄(27.7%)을 가장 우선순위로 택했다.

이준섭 기자 ljs@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