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성아 부시장, 머크 싱가포르서 기술실증, 인력양성 등 의견 교류

대전시가 싱가포르의 주요 바이오 혁신기관을 찾아 합성생물학 기반의 바이오 신산업 육성과 지역 바이오 생태계 고도화를 추진한다.
지난 12일부터 14일까지 일정으로 싱가포르를 방문 중인 최성아 정무경제과학 부시장은 지역 바이오산업의 글로벌 협력 모델을 발굴하고 대전 바이오기업의 해외 진출 방안을 모색했다. 시가 싱가포르를 해외 네트워크 거점으로 선택한 이유는 자원이 제한된 도시국가임에도 정부의 전략적 투자와 싱가포르 과학기술청 중심의 연구개발 체계와 대학·기업·정부가 긴밀히 연결된 구조를 기반으로 아시아 최고의 바이오 허브로 성장한 저력을 보여서다. 특히 완화된 규제 적용을 통한 기업의 신속한 제품 개발이 가능해 신제품 개발·실증과 글로벌 진출에 발판이 될 잠재력을 지녔다.
최 부시장은 13일 머크 싱가포르를 찾아 합성생물학 분야의 공동연구, 기술실증, 인력양성과 스타트업 지원 등 다양한 협력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류했다. 머크 싱가포르는 아시아 바이오의약품 생산 거점으로 바이오의약품 자동화 설비와 스마트팩토리 기반의 생산공정을 운영 중으로 유연한 시험환경을 통해 현재 생산라인에 영향을 주지 않고 중요한 바이오 공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특정 공정을 재현하고 있다. 최 부시장은 싱가포르 방문 마지막 날에는 싱가포르의 대표적인 식품·바이오 스타트업 인큐베이팅 기업 Innovate360을 찾아 지역 바이오산업의 네트워크를 확보할 계획이다.
최 부시장은 “싱가포르는 연구개발에서 끝나지 않고 기술을 산업과 시장으로 연결하는 속도가 매우 빠른 도시다. 연구기관과 기업, 정부가 긴밀히 연결된 바이오 생태계의 성공사례로 꼽힌다. 대전이 보유한 연구개발 중심 역량에 싱가포르의 합성생물학 산업·상용화 모델을 결합해 대전이 글로벌 바이오 혁신 선도 도시로 도약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김현호 기자 khh0303@ggilbo.com·이준섭 기자 ljs@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