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평가원, 킬러문항·사교육 유리 문항 배제
지난해 수능과 비슷하지만 까다로운 문항 포함돼 체감 난도 높았을 것

사진= 제미나이 제공
사진= 제미나이 제공

‘황금돼지띠’ 등의 영향으로 7년 만에 가장 많은 인원이 응시한 2026학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13일 마무리됐다. 전국 85개 시험지구 1310개 시험장에서 일제히 진행된 이번 수능에는 전년보다 약 6%, 3만 1504명 늘어난 55만 4174명이 지원해 2019학년도 이후 7년 만에 가장 많은 인원이 응시했다. 재학생은 전년보다 3만 1120명 늘어난 37만 1897명(67.1%)으로 집계됐으며 검정고시 등 기타 지원자는 2246명 증가한 2만 2355명(4%)으로 집계됐다. 반면 졸업생은 1862명 줄어든 15만 9922명(28.9%)을 기록했다. 재학생 응시자는 출산율이 높았던 ‘황금돼지띠’ 2007년생이 올해 고3이 되면서 전년 대비 9.1%나 늘었다.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인원은 증원 전 수준인 3016명으로 되돌아가면서 졸업생인 ‘N수생’ 응시자는 전년(16만 1784명)보다 감소했지만 최근 12만~13만 명대였던 것과 비교하면 여전히 많은 수준이다. 응시자는 늘었지만 최상위권이 몰리는 의대 정원은 줄어 경쟁은 한층 치열해질 전망이다.

교육과정평가원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시험 시작 직후 2026학년도 수능 출제 경향을 발표했다. 올해 수능에서도 ‘킬러문항(초고난도 문항)’ 배제 기조가 유지됐고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춰 문항을 출제했다는 게 평가원의 설명이다.

김창원 수능출제위원장(경인교육대학 교수)은 “사교육에 유리한 문항은 배제하고 선택과목에 따른 유불리를 최소화하는 등 고교 교육과정 수준에 맞춰 출제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2026학년도 수능은 전 영역에서 2015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의거해 시행됐다”며 “교육과정 내용과 수준을 충실히 반영하고 대학교육에 필요한 수학능력을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출제했다”고 말했다. 이어 “고등학교 교육 정상화에 도움이 되도록 교육과정의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출제했다”고 덧붙였다.

입시업계에선 이번 수능이 지난해보다 상위권과 최상위권을 변별하기 위한 문항의 난이도가 높았던 것으로 평가했다. 전반적인 난이도는 지난해 수능과 비슷했지만 일부 까다로운 문항 때문에 체감 난이도가 높았을 것이란 분석이다.

교육과정평가원은 17일 오후 6시까지 홈페이지를 통해 수능 문항에 대한 이의신청을 받아 심사한 뒤 25일 오후 정답을 확정·발표하고 내달 5일 성적을 수험생에게 통지할 예정이다.

조길상 기자 pcop@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