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덕여자대학교 학생들이 지난해 공학 전환 반대 점거 시위 과정에서 발생한 교내 래커칠에 대해 “빠른 시일 내 복구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다만 복구 비용 부담 주체를 두고는 ‘학교 교비 부담’과 ‘구성원 모금 병행’ 의견이 엇갈렸다.
동덕여대 총학생회 비상대책위원회가 지난 1일부터 6일까지 진행한 ‘시설복구 관련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학생 총 725명 중 95.2%가 ‘교내 래커칠 미화 작업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비대위는 이 결과를 지난 12일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공개했다.
응답자 중 85.5%는 미관 개선, 학교 이미지 회복, 내년 신입생 입학을 앞둔 시점 등을 고려해 11~12월 안에 복구가 이뤄져야 한다고 답했다.
복구 비용 조달 방식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53.1%가 '교비와 학내 구성원 모금을 병행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교비와 모금 중 하나로만 충당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 같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다.
42.1%는 ‘학교의 소통 부재로 발생한 일’이라는 점을 이유로 '교비로만 비용을 충당해야 한다'고 답했다. 교비 없이 학내 구성원(학생·교수·직원·동문 등)의 모금으로 충당해야 한다는 응답은 4.8%에 그쳤다.
총학생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시설복구에 대한 논의가 시작됐지만 아직 학내사안은 해결되지 않았다"며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시기와 비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학교와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동덕여대 학생들은 지난해 11월 학교 측의 일방적인 '남녀공학 전환' 논의에 반발해 24일간 본관을 점거하고 시위를 벌였다. 이 과정에서 교내 시설물을 래커로 칠했으며, 학교 측은 피해액을 최대 54억 원으로 추산했다.
학교 측은 당시 총학생회장을 비롯한 21명을 경찰에 고소했으나, 지난 5월 ‘상생협력서’를 체결하며 고소를 취하하고 처벌불원서를 제출했다.
그러나 경찰은 해당 혐의가 친고죄나 반의사불벌죄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수사를 계속했고, 38명을 입건해 이 중 22명을 지난 6월 불구속 송치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