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마지막 숲 보문산 개발 논란
민관 합의 묵살·시민참여 미이행 지적

▲ 보문산난개발반대시민대책위원회가 19일 대전시청 앞에서 보물산프로젝트 공익감사를 청구하고 있다. 정근우 기자

대전시 보물산프로젝트가 시민 의견 없이 추진되고 있다는 비판이 거세다. 보문산에 전망타워와 케이블카를 설치하는 4400억 원 규모의 개발사업과 관련해 절차 미이행과 재정 부담 논란이 동시에 제기됐다.

보문산난개발반대시민대책위원회는 19일 대전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보물산프로젝트에 대한 공익감사를 요청했다. 위원회는 민선 7기 민관공동위원회가 합의한 고층 타워 배제와 주민 참여 중심 활성화 방안이 무시됐다고 지적했다. 시가 사업을 추진하면서 확보된 예산이 없고 전망타워는 시 재정으로, 케이블카 등은 대전도시공사 공사채로 충당하는 방식은 재정 건전성을 흔드는 결정이라고 주장했다.

경제성 분석 부풀리기 의혹도 제기했다. 위원회는 전망타워 타당성 용역에서 관광 매력도를 반영하지 않은 모델을 적용하고 편익에 지역 매출을 포함해 비용편익 값을 실제보다 높게 계산했다고 주장했다. 재산정하면 비용편익 값이 0.975에서 0.297 수준으로 떨어져 사실상 경제성이 없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보문산의 환경적 가치도 쟁점이다. 보문산은 도심 생태축의 핵심으로 멸종위기종 서식이 확인된 지역이다. 위원회는 케이블카와 타워가 산림을 단절하고 생태와 기후 완충 기능까지 훼손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경호 대전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대전시는 보물산을 ‘고물산’으로 만들고 있다”고 했고 문성호 공동대표는 “단 한 차례 공청회도 없었다”고 지적했으며 김기중 성서대전 사무처장은 “정당한 시민활동을 형사 고발로 대응하는 것은 공권력 남용”이라고 지적했다.

위원회는 “보문산과 인근 개발계획을 모두 합치면 1조 원이 넘는 규모다. 장기적 재정 부담이 결국 시민에게 돌아갈 수 있다”고 지적하면서 “민간도 포기한 사업을 공공 부채로 떠안게 할 수는 없다”며 사업 전면 재검토와 감사원 판단을 촉구했다.

글·사진=정근우 기자 gnu@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