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 장군 휘하서 활약한 송희립

송희립(宋希立,1553년~1623년 12월 20일, 호 삼규당(三規堂), 자 신중 信仲)은 전남 고흥군 동강면 마륜리에서 송관의 아들로 태어났다.
조선중기의 무신으로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의 휘하에서 수군으로 활약했다.
송간(宋侃)의 6대손으로, 송간은 1455년 왕명으로 호남 지방을 순시하던 중 세조에 의해 단종이 영월로 쫓겨 갔다는 소식을 듣고 전남 고흥군 동강면 마륜리에 은거하다가 생을 마감한다.
이후 그의 후손들이 그곳에 정착을 한다. 형제로는 형 송대립과 아우 송정립이 있으며, 이후 3형제 모두 임진왜란에 참전을 한다. 1583년 선조 16년, 별시로 치른 무과에 합격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녹도만호 정운의 군관으로서 5월 1일 거제에서 왜병을 격파하고, 남해 앞바다에서 머물며, 이순신과 함께 원균 등과 합동 작전을 벌일 것을 주장해 옥포해전, 사천해전, 한산 대첩, 부산포 해전에서 큰 공을 세운다.
지도만호(智島萬戶)가 되어 형 송대립과 함께 이순신의 휘하에서 활약했다.
1597년 선조 30년, 명량해전에서 이순신이 승선한 판옥선에 함께 승선하여 적의 함대로 진격했다.
1598년 선조 31년 노량해전에서 적에게 포위된 명나라의 제독 진린을 구출했으며, 이순신이 탄환에 맞았을 때 옆에서 전사를 지켜보았다.
1601년 5월에는 양산군수를 제수받았고, 8월에는 다대포첨사(多大浦僉使)로 제수받았다.
이후 1611년 광해군 4년 전라좌도 수군절도사가 됐다.
1619년 67세 때 별장으로 재직하였으며, 주사청의 업무로 경상도에 파견됐다.
1623년 3월 12일(음력) 인조반정이 일어나 광해군은 정권을 잃었으며, 그해 12월 20일 71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난다.
송희립은 흥양(전라남도 고흥)의 세충사에 제향되었다.
그후 장군의 호국충절을 기리는 곳은 재동서원, 충무사(순천, 한산, 고흥), 무광사 등에도 배향되고 있다.
육군에서는 광주 상무대에도 이순신, 정운 장군의 동상과 함께 송희립 장군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여산송씨는 조선시대에 문과(文科: 문관을 뽑아 쓰던 과거로 시험은 3년마다 실시되었으며 초시, 복시, 전시의 3단계로 나뉘었음. 대과)에 74명, 무과(武科)에 51명, 사마시(司馬試: 생원, 진사를 뽑던 과거)에 229명, 음양과(陰陽科: 천문, 지리, 명과학(命課學)에 밝은 사람을 뽑던 과거)에 1명, 율과(律科:형률에 능통한 사람을 등용하던 잡과의 한 가지)에 2명 등 357명의 과거 급제자를 배출했다.
인구조사에서 여산송씨는 1985년에는 총 4만 8212가구에 20만 334명, 2000년에는 총 7만 2763가구에 23만 2753명이었다.

<대전에서 여산송씨 미이라 발견>

대전 목달동에서 출토된 복식. 대전선사박물관(유성구 노은동)-사진 위 <답호> 아래 <방령상의>
한편 2004년 대전 보문산기슭 중구 목달동에서는 조선초기 사대부 무덤이 발견됐다.
여산송씨 분묘인 이곳에서 여산송씨 11세손인 어모장군(禦侮將軍: 정3품 당하관)을 지낸 원윤공파 송효상(?~1490년경)의 무덤을 비롯 증손자 형제들의 미이라가 출토됐다.
이들 무덤에서는 미이라와 함께 복식유물이 출토됐는데 15세기에서 17세기 초반의 복식으로 여말선초의 복식 특성과 임진왜란을 기점으로 한 복식 특성을 같이 고찰할수 있어 학계에 큰 관심을 끌었다.
출토 미이라 중 송희종은 송효상의 증손으로 통훈대부(通訓大夫: 정3품 당하관)로 군자감 판사(軍資監判事: 군자감은 조선때 군수품 출납을 맡아본 관청으로 군량미는 녹미를 포함 보통 30만석을 저장함, 정은 정3품)를 지냈고, 같이 발견된 순흥안씨는 송희종의 부인이다.
또 충주박씨는 송희종의 형인 송희최의 부인이다.
송희최는 선무랑(宣務郞: 선무랑은 종6품 문관 하계(下階)의 품계)으로 수군자감주부(守 軍資監 主簿: 조선때 종6품 낭관 벼슬이며, 수는 계비직고(階卑職高)라 하여 관직의 수급균형을 맞추기 위해 도입한 ‘행수법’으로 품계는 낮은데 관직은 높은 직을 맡았다는 뜻)를 지냈다.
2009년 12월부터 대전시 선사박물관에서 전시됐던 출토복식은 대전지역에서 생활했던 기호학파 선비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었다.
전문가들은 출토복식의 직물을 보면 견직물보다는 면직물이 많다며 이는 임진왜란이후 어려워진 경제사정과 그로 인해 면직물생산이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