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어 마모한계선 1.6㎜ 초과땐 대형교통사고 초래

공기압 적정수준 유지로 과도한 연료소비 막아야

올 한 해의 풍성함을 함께 나누는 한가위, 민족 대이동이 시작된다. 어느 때보다 즐거워야 할 명절, 들뜬 마음을 가라앉히고 먼 길 이동하기 전에 자동차 점검, 특히 타이어 안전점검을 잊어선 안 된다.

◆ 타이어 마모 상태 반드시 체크하자

한국타이어 안전점검캠페인의 모습.
승용차용 타이어의 마모한계 표시는 1.6㎜로 타이어를 사용하다 타이어의 표면이 홈 속에 돌출된 부분(마모한계점·△표시)까지 닳으면 그 타이어는 마모 상태가 한계에 이른 것으로 보면 된다. 곧바로 교체가 필요하다. 싼 값에 현혹돼 제조된 지 오래된 중고 타이어를 구입하면 사고의 위험은 더욱 커진다. 타이어는 오래될수록 고무층이 딱딱해지기 때문에 고속주행 시 파손위험이 커진다. 특히 빗길에선 마모도의 차이가 제동거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미끄럼 사고를 유발하기도 한다. 또 타이어의 마모한계선을 넘을 경우 타이어가 쉽게 가열돼 운전 중 이물질에 찔렸을 경우 파열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마모한계선을 넘은 타이어 파열은 고속도로에서 대형사고의 원인이 된다.

최근 한국타이어가 자체 실험한 결과 젖은 노면에서 시속 100㎞ 이상으로 달리다가 급제동했을 때 홈의 깊이가 7㎜인 새 타이어와 홈의 깊이가 1.6㎜로 심하게 마모된 타이어를 비교하면 제동력 측면에서 2배에 가까운 차이를 보였다. 새 타이어의 경우 제동거리가 53m인 반면 마모된 타이어의 제동거리는 91m로 38m나 차이가 났다. 시속 80㎞로 코너를 도는 실험에서도 새 타이어는 2~3m 미끄러지지만 낡은 타이어는 차량이 아예 도로 밖으로 이탈해 버리는 결과를 보이기도 했다. 특히 빗길 주행 중 타이어는 트레드(Tread)라고 불리는 고무층 사이의 홈을 통해서 물을 빼는데 이 고무층이 지나치게 마모되면 배수가 잘 안 돼 타이어와 도로 표면 사이에 수막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수막현상은 고속 주행 시 수압으로 인해 더욱 심화되고 만약 타이어가 마모된 상태로 과속하면 타이어가 물 위에 뜨기 때문에 운전자는 수상스키를 탈 때처럼 방향을 바꾸거나 제동을 걸 때 브레이크와 핸들 조작이 어려워져 큰 위험에 직면할 수 있다.

◆ 공기압 체크…마모 줄이고 연비도 절약
타이어의 공기압은 승차감, 안전성, 타이어의 수명 등에 영향을 준다. 또 표준 공기압을 유지해야 타이어가 100%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타이어의 공기압이 부족하면 회전저항이 커지고 타이어 각 부분의 움직임이 커져서 열이 발생하고 코드나 고무가 약화된다. 따라서 타이어의 각 부위가 분리되거나 상처가 생길 수 있으며 타이어 양쪽 가장자리에 이상 조기 마모현상이 발생한다. 반대로 공기압이 과다하면 완충능력이 떨어져 승차감이 나빠지고 차체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또 모든 부위가 긴장된 상태이기 때문에 갑작스러운 충격을 받았을 때 파열되기 쉽고 지면과 접촉하는 타이어 트레드의 중앙 부위만 닳는 이상 조기 마모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지정된 공기압을 유지해 타이어의 트레드 부위 전체가 지면에 고르게 접촉되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일본타이어공업협회에 따르면 적정 공기압(100%)의 90% 수준에서 차량을 운행할 경우 타이어 마모수명은 5%포인트 낮아지고 60% 수준일 경우 마모수명은 절반 이하로 떨어진다. 공기압 체크는 에너지절약 측면에서도 필요하다. 에너지관리공단에 따르면 타이어 공기압은 3개월 정도 지나면 자연적으로 10% 감소해 연료소비도 1% 정도 증가한다. 한국타이어의 실험에선 같은 조건에서 차량 연비가 1.6%포인트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기준 기자 lkj@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