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무, 대한제국군 교련관 근무
대한국민회 조직 항일투쟁 전개
안무(安武, 1883~1924년) 장군은1883년 6월 29일 함경북도 경성(鏡城)군 행영(行營)면에서 출생했다. 호(號)는 청전(靑田)이다.
17세까지 고향에서 성장한 안무(安武)는 1899년 대한제국 진위대병사로 입대해 하사관을 거쳐 서울 교련관 양성소를 졸업한 후 무산 등지에서 교련관으로 근무했다. 교련관은 조선후기 각 군영 소속 군관직의 하나로서 주로 군대의 교련을 맡은 품외직으로 출신(出身), 전함(前銜), 한량(閑良), 항오(行伍)를 막론하고 사법(射法), 병서강(兵書講), 진법(陳法) 등 3기(三技)로써 시험을 치뤄 선발했다.
1907년 8월 1일 대한제국군이 일제에 의해 강제해산 당하게 되자 시위대 제1연대 1대대, 제2연대 1대대 병사들은 통분함을 이기지 못해 일군과 전투를 벌였다. 당시 일군과 교전 중 전사한 장교가 11명, 사병은 57명, 부상자가 100여 명, 그리고 피체된 수는 막대했다.
일제하에서 군에 몸담고 있다는 것은 양심상 도리가 아니라고 생각한 안무(安武)는 즉시 군복을 벗어 던지고 함북 경성의 함일학교(咸一學校)와 무산의 보성학교(普成學校)의 체육교사로 지내면서 학생들에게 병영식 체조를 가르쳐 장차 독립군으로서 필요한 체력과 담력을 배양시켰다.
1910년 8월 29일 경술국치를 당하게 되자 안무(安武)는 울분을 더 참을 수가 없어 구국항쟁에 투신하기로 결심하고 북간도로 망명했다. 당시 북간도 명동촌에 정착해 항일활동을 전개하던 이동휘와 김약연 등을 만나 1919년 대한국민회를 조직하고 동회 소속부대인 국민회군 300여 명을 편성해 무장시키는 한편, 사령관으로 취임해 무장항일투쟁을 전개했다.
대한국민회는 1919년 3월 13일 용정에서의 만세운동 이후 간민회(墾民會) 출신의 인사들이 주축이 돼 간민회의 한인자치와 독립전쟁의 전통을 계승해 결성한 단체다. 1919년 3·1운동을 계기로 만주방면에는 여러 개의 독립투쟁을 위한 단체들이 조직됐다. 북간도 지방과 훈춘에서 황병길, 박치환 등의 주도로 건국회(建國會)가 조직되고 화룡현 태랍자에서 충렬대가 조직됐으며 연길현 국자가에서는 자위단(自衛團)과 조선국민의사회가 조직됐다. 상해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되자 연길, 왕청, 화룡 3개현의 독립운동단체 대표가 모여 회의를 열고 간도 대한국민회로 통합, 발전시켰다.
대한국민회는 3개현을 5개 구회로 나누고 그 밑에 52지회를 두어 기구를 정비하는 한편 임시정부 산하에 속하게 하고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그 후 훈춘 대한인국민회의 모든 회원을 합쳐 80여 개 소의 지회로 확대시켰으며 이들 지회를 통해 거주동포들의 자치생활에 치중하는 한편, 군자금 모집과 무기를 구입해 독립군 부대를 양성했다.
그 중에도 국민회의 지도자 김영학(金永學), 김약연(金躍淵), 김내범, 구춘선, 마진, 유찬희, 강백규(姜百奎), 신학봉(申學奉), 정재면(鄭載冕) 등 인사들은 현지의 중국 관헌과 긴밀한 협조로 중국 관민들의 깊은 이해와 협조를 얻어 당시 중·일간에 분쟁이 되었던 무기 반입과 독립군 훈련 등을 순조롭게 추진할 수 있었다.
이때 안무(安武) 장군은 국민회의 국민군 300여 명의 훈련을 직접 담당해 정예부대로 키워 나갔으며, 장정을 모집해 2개월간 군사훈련을 시키고 무기는 니콜리스크에서 구입했다. 또 사관양성을 위해 명월구에 무관학교를 세우는 등 본격적인 무장역량 강화에 힘을 쏟았다. 나아가 전력면에서 가장 막강한 부대로 육성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