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자살률 20% 감소 목표
충남도가 자살 시도자를 찾아 관리하는 등 고위험군에 대한 통합 관리에 나선다. 또 생애주기별 맞춤형 자살 예방 대책을 추진하고 광역 및 시·군 단위 민·관 협력체계도 구축한다.
도는 이 같은 내용의 ‘2016년 자살 예방 추진계획’을 마련, 본격 추진한다고 18일 밝혔다.
추진계획에 따르면 인구 10만 명당 자살을 지난해 36.5명에서 올해 29.2명으로 줄이는 등 자살률 20% 감소를 목표로 잡았다.
도는 이를 위해 자살 예방 인식 개선 및 환경 조성과 고위험군 조기 개입 및 위기관리 강화, 자살 예방 대책 추진 기반 강화 등 3대 전략과 ▲사회적 인식 개선 ▲자살 예방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자살 위험 환경 개선 ▲생애주기별 맞춤형 예방 대책 추진 ▲고위험군 지지체계 강화 ▲위기 대응 및 사후 관리체계 마련 ▲정신건강 인프라 강화 ▲지역사회 대응 역량 강화 ▲자살 예방 인력 확충 ▲근거 기반 자살 예방 연구체계 마련 등 10대 과제를 추진키로 했다.
우선 자살 고위험군 발굴 및 관리를 대폭 강화한다.
도내 모든 응급의료기관을 통해 자살 시도자를 찾고 지역주민과 이·통장, 복지시설 종사자, 보건소 및 의료기관 등과 고위험군 발굴체계를 구축한다.
발굴한 고위험군은 지역 보건의료정보시스템(정신건강증진센터)과 사회보장정보시스템(행복e음)을 연계해 통합 관리하며 정신과와 정신건강증진센터, 사회복지시설 등이 유기적으로 이들에 대한 심리치료 및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와 함께 자살자 유가족 자조모임을 지원하며 자살자나 시도자가 발생한 학교에 대해서는 심리적 외상 및 동조자살(베르테르 효과)을 막기 위해 사후 개입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실직자 중 고위험자는 고용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 등을 통해 조기 발견하고, 빈곤층은 통합사례 관리 대상자 조사 때 자살 시도 여부 등을 살핀 뒤 위기가 감지될 경우 정신건강증진센터로 연결한다.
도는 생애주기별 맞춤형 자살 예방 대책도 추진한다.
아동·청소년은 지역사회 청소년 통합 지원체계와 연계해 생명존중 및 자살예방교육을 집중 실시하고, 정서행동 특성검사를 통해 맞춤형 정신 건강 서비스를 지원한다.
최근 자살이 늘고 있는 청·장년층을 대상으로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교육용 동영상 및 책자를 보급하고 산업체 안전 교육과 연계해 자살 예방·정신건강 관리법을 제공한다.
노인들의 자살을 막기 위해서는 독거노인 우울증 선별검사와 치료비를 지원하고 행복경로당 및 독거노인 공동생활제 운영, 돌봄 서비스 및 일자리 사업 지원, 독거노인 응급안전 돌보미 사업, 우리마을 주치의제 운영 등 보건복지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강화한다. 매주 수요일을 ‘가족 사랑의 날’로 정해 ‘부모님께 안부전화하기 운동’도 펼친다.
도는 자살 예방 대책의 효과적인 추진을 위해 광역 및 시·군 단위 민·관 협력체계를 구축한다.
도내 의약인 단체, 종교단체, 경찰·소방·응급의료기관, 교육청 등 유관기관과 오는 3월 전후로 업무협약을 체결해 광역 거버넌스 체계를 마련한다. 시·군은 시장·군수를 중심으로 유관기관과 업무협약을 맺고 자살예방실무협의체 운영, 전문가 교육, 연찬회, 평가대회 등을 실시할 계획이다.
이밖에 생명사랑문화제, 자살 예방 포럼 개최, 정신건강주간 운영, 자살 인식도 조사, 고위험군 음주 관리 강화, 자살 고위험군 멘토링 사업 확대, 자살 위기 전화 운영 및 긴급출동 연계 강화, 자살 예방 전문인력 양성, 자살 사망 통계분석 및 심리부검 등의 사업도 추진한다.
도 관계자는 “자살은 사회환경적 요인과 개인적 측면이 결합해 발생하는 복합적인 사회현상”이라며 “자살 예방을 위해 올해 민·관 협력을 통한 대응체계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생명 존중에 대한 인식 개선을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내포=김도운 기자 8205@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