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북 충주와 제천은 ‘중심시가지 근린재생형’으로, 충남 아산은 ‘일반 근린재생형’ 사업지로 각각 지정돼 지역별 특화사업이 추진된다.
정부는 18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제6차 도시재생 특별위원회를 열어 2016년도 도시재생사업 지원 대상지역 33곳을 확정하고 도시재생사업 종합지원방안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동구·중구 등 5곳이 올해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사업으로, 중심시가지 근린재생형 9곳, 일반 근린재생형 19곳 등 총 33곳이 ‘2016년도 도시재생사업’ 지원 대상지역으로 선정됐다. 이번에 확정된 33곳은 지난해 지방자치단체 공모를 통해 선정됐다.
경제기반형 사업지인 동구와 중구는 충남도청 이전 부지에 창조문화센터를 조성하고, 대전역세권에는 MICE산업 등을 유치해 새로운 경제 거점을 확보키로 했다.
경제기반형사업은 공공청사 이전부지, 유휴항만 등을 거점으로 도시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는 사업으로, 5곳에 6년간 최대 250억 원을 지원한다.
중심시가지 근린재생형은 과거 도시의 행정·업무·상업 중심지였던 원도심을 살리는 사업으로, 9곳에 5년간 최대 100억 원을 지원한다. 충주시가 진행하는 도시재생사업은 관아골의 경관을 정비하고, 원도심 유휴 시설(우체국 이전부지 등) 등에 청년창업 문화·예술 클러스트를 조성해 원도심을 활성화하는 프로젝트다.
제천시는 업종전환을 통해 저층형 노선상가를 조성해 상권을 활성화하고, 노외주차장을 활용해 대학생 행복주택 등을 건립하기로 했다.
일반 근린재생형은 낙후된 주민생활환경을 개선해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19곳에 5년간 50억 원을 지원한다. 아산시는 장항선 모산역 이전 부지에 어린이 체험문화 시설 등의 조성을 통해 주변 신도시 지역의 문화·서비스 수요를 충족시킬 예정이다.
박길수 기자 bluesky@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