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도민들이 교통사고의 위험에 노출돼 있다. 전국에서 가장 낮은 교통안전 지수를 보이고 있고, 교통사고 발생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전국 평균 0.09명인데 비해 충남은 0.18명으로 두 배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교통사고 위험이 높은 것은 주민들의 안전의식을 비롯한 내재적 요인도 있겠지만 근본적 원인은 도로 여건이 미흡하고 기타 안전시설 설치가 미흡하기 때문이다.

최근 발표된 자살률 통계에서도 불명예스러운 전국 1위를 차지한 충남은 교통안전지수도 전국 최하위를 기록해 안전 문제에 관해 할 말이 없게 됐다.

인구가 늘고, 산업이 발달하고, 경제가 성장하면 뭐할 것인가. 도민이 안전하지 않다면 다 허사가 아닌가.

도로교통공단이 최근 발표한 ‘2015년 전국 시·군·구별 교통안전지수’ 결과를 살펴보면 충남도의 교통안전지수는 75.4점으로 전국 17개 광역시·도 중 최하위로 집계됐다.

전국 평균지수는 79.6점인 것을 감안하면 형편없는 수치이다.

전국의 227개 기초 자치단체 별 교통안전지수 조사에서도 충남은 예산군(71.9점, 204위), 청양군(70.7점, 211위), 태안군(69.8점, 215위), 논산시(69.4점, 216위), 보령시(69.0점, 219위), 서천군(68.9점, 220위)이 바닥 등위를 차지해 심각한 상황을 드러냈다.

아산시(78.5점, 119위), 천안시(77.3점, 145위), 홍성군(76.1점, 166위), 서산시(74.1점, 183위), 부여군(72.3점, 199위) 등도 100위권을 밑돌며 낙제점을 받았다.

국가와 지자체가 행정을 펼치며 최우선의 가치를 두어야 할 부분은 주민들의 안전과 행복이다.

‘안전’과 ‘행복’이라는 두 가치에 나머지 가치는 녹아있다. 그만큼 안전은 행정이 추구해야 할 최우선의 지향점이다.

이런 면에서 충남이 전국 최하위의 교통안전지수를 보인다는 것은 불행한 일이다.

다른 모든 분야에 앞서 최우선적으로 도민의 안전을 챙기는 일에 몰입해야 한다.

교통안전시설을 확충하는데 아낌없이 예산을 투입하고 주민교육도 강화해야 한다. 경찰과 머리를 맞대고 단 한 건의 교통사고라도 줄일 수 있도록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안전지수가 낮게 나온 지역이 대부분 노령인구가 많고 산업화에서 밀린 소외지역이란 점은 많은 시사점을 안겨준다.

재정 부족이라는 현실적 문제에 부딪혀 안전시설 확충과 주민교육을 등한시 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돈이 없어 사람을 죽고 다치게 방치한다는 것은 인본행정이라 할 수 없다.

모든 행정 집행에서 최우선적으로 자살 예방과 교통사고 줄이기에 올인해야 한다.

그래야 진정 도민이 안전하고 행복한 충남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