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전 세계 189개국 중 104위에 머무는 우울한 성적표를 받은 가운데 대전·충남도 전반적인 경기침체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충남의 경우 전국 중위권의 경제성장 속에서도 주력 사업의 부진이 여전했고 대전의 경제성장률은 전국 평균을 크게 밑돌아 향후 전망을 어둡게 했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2015년 지역소득 추계결과(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17개 광역시·도 전체의 지역내총생산은 1564조 원으로 전년 대비 약 78조 원(5.3%) 증가했다.
또 실질 경제성장률은 건설업, 금융·보험업, 사업서비스업 등의 증가로 전년에 비해 전국 평균 2.8% 성장한 것으로 조사됐다.
충남의 지난해 지역내 총생산액은 110조 9000억 원으로 전국 총 생산액의 7.1%를 차지했으며 전국 평균을 0.6% 상회하는 3.4%의 경제성장률을 보였다.
경제성장률 폭이 가장 큰 지역은 제주로 4.5%를 달성했으며 충북(4.2%), 전남(3.7%), 경기(3.6%), 서울·인천(3.5%) 등이 뒤를 이었다.
충남의 경우 교육서비스업과 제조업에서 각각 5.4%, 1.5% 올라 전체적인 성장비율 상승을 견인한 반면 농림어업은 -2.8%, 숙박·음식점업은 -0.7%로 마이너스대 성장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제조업 중 충남의 주력산업이라 할 수 있는 석탄·석유·화학제품 분야가 9.2%에서 8.9%로, 비금속광물·금속제품이 10.0%에서 8.9%로, 전기·전자·정밀기기가 20.8%에서 19.9% 등으로 모두 하락했다.
충남의 지역총소득은 81조 5000억 원으로 전국의 5.2%를 차지했으며 개인소득은 37조 2000억 원으로 전년에 비해 2조 4000억 원(6.8%) 증가했다.
대전은 전국 7개 광역시도 중 울산(0.2%)에 이어 2번째로 낮은 2.0%의 성장을 보였다.
낮은 경제성장률의 원인으로는 숙박·음식점업(-3.2%)과 부동산·임대업(-1.1%) 감소, 민간소비(2.2%)와 정부소비(2.5%0 등의 증가세 둔화 등이 꼽혔다.
지난해 대전의 지역내 총생산은 34조 원으로 전국의 2.2%를, 지역총소득은 38조 5000억 원으로 전국의 2.4%를 각각 차지했다.
지역내 총생산 대비 총소득 비율은 113조 3000억원 수준으로 전년보다 하락했으며 개인소득은 26조 원으로 2014년에 비해 8000억 원(3.2%) 증가했다.
한편 지역소득은 통계청이 생산, 소비, 물가 등의 기본통계를 바탕으로 추계한 해당 지역의 소득자료로 확정 통계는 내년 상반기 발표될 예정이다.
내포=김혜동 기자 khd@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