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과 충청지역 소재 대학들이 2017년 등록금 동결과 인하를 잇따라 발표하고 있다.

대학들이 등록금 인상을 자제하는 것은 벌써 수년째로 학생과 학부무에게는 여간 반가운 일이 아니다.

꽤 오랫동안 등록금 인상이 멈춰 섰지만 여전히 대학등록금은 가계를 짓누르는 주요 항목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래서인지 대학들이 어렵게 등록금 인하 도는 동결을 발표하지만 받아들이는 교육수요자들은 썩 고마워하지 않는 분위기이다.

올해 대학들은 합법적으로 등록금을 1.5%까지 인상할 수 있었지만 약속이나 한 듯 이를 외면했다.

아직까지 등록금을 인상한 대학이 있다는 소식은 들리지 않고 있다.

각 대학들이 등록금을 인하하거나 동결하는 것은 실상 교육수요자들을 위한 배려 때문이라고 보기 어렵다.

교육부의 눈 밖에 나서 소탐대실하는 우를 범하지 않기 위한 것이 궁극적 목적으로 보인다.

등록금을 인하하거나 최소한 동결을 해야만 국가장학금 2유형을 지원할 수 있도록 했으니 겁을 상실하지 않고서야 등록금 인상을 단행할 리 만무하다.

국가장학금 2유형을 충족하는 대학이라야 각종 대학정책지원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구조이다보니 대학들은 등록금 인상을 통해 몇 억 원의 재정을 확보하는 것을 포기해서라도 국가지원 사업에 참여해 보다 큰 이익을 챙겨보겠다는 의도를 보이고 있다.

마음에도 없는 등록금 인하나 동결을 수년째 발표하고 있으니 대학들의 속이 타들어 가는 것은 불문가지이다.

모든 물가가 상승하고 있고 교수나 교직원들의 급여도 인상되고 있을 텐데 이 판국에 등록금 인하나 동결을 발표하자니 속은 부글부글 타들어 갈 것이 분명하다.

가뜩이나 정원 축소의 압박이 심해지고 있고, 중국인 유학생들도 영어권 나라로 발걸음을 돌리고 있으니 대학들의 재정난이 날로 심해지는 것은 충분히 이해가 된다.

그래서 한편 안타까운 마음이 생기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대학들에게 꼭 당부하고 싶은 것은 등록금 인하나 동결이 절대로 교육의 질 저하로 연결돼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가뜩이나 대학교육의 질이 날로 떨어져 대학을 졸업한 학생이 대졸자로서의 교양과 실력을 갖추지 못한 경우가 많다는 사회적 푸념을 묵과해서는 안 된다.

대학은 질 높은 고등교육을 수행하는 기관이지 교육을 매개로 이윤을 창출하고자 하는 학원이 아니다.

어떠한 이유도 교육의 질적 저하를 합리화시킬 수는 없다는 사실을 대학들은 명심해야 한다.

등록금을 인상하지 않았다고 당연히 해야 할 설비 투자를 외면하거나 교수자원의 질적 향상을 위한 투자를 게을리 한다면 당장은 이득이 되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몰락과 퇴보를 자처하는 일이란 사실을 되새겨야 한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