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보건환경연구원은 2009년 한 해 동안 관내 대형할인점에서 유통되는 다소비 브랜드 쌀 94종을 선정, 129점의 시료에 대해 납, 카드뮴 등의 중금속과 잔류농약 210종에 대한 안전성 조사를 실시한 결과 모두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4일 밝혔다.쌀 129건에 대해 납과 카드뮴 등 중금속 안전성조사를 실시한 결과, 대부분에서 납은 불검출 됐으며 29건은 허용기준치(0.2㎎/㎏) 이하(0.1㎎/㎏)로 검출됐다. 카드뮴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생산지역별로 보면 전북(36%), 강원(33%), 경기(27%), 전남(22%), 충남(18%), 충북(17%), 경북(13%)의 순으로 검출됐으며, 대전지역에서 생산된 쌀에서는 납과 카드뮴이 검출되지 않았다.잔류농약 분석결과 12.4%인 16건에서 8종(대부분 저독성 농약)의 농약성분이 검출됐지만 모두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지 않았다. 생산지역별로 비교해보면 강원(22%), 충남(21%), 전북(18%), 충북(17%), 경기, 경북(7%)의 순으로 검출됐으며, 대전과 전남 지역에서 생산된 쌀에서는 농약성분이 검출되지 않았다.한남희 기자 nhhan@gg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