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학년도 대학별 논술고사의 중요성은 대학별 논술고사를 실시하는 대학의 수뿐만 아니라 응시생의 수가 전체 입학정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2010학년도의 경우 수시전형을 통한 모집인원은 전체 모집인원의 60%를 돌파했고, 2011학년도 입시와 관련해 대학들이 발표한 입시모집안에서는 대학별 논술고사 반영비율을 높이고 있는 추세로 볼 때 논술고사의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다.논술교육이 강화되고 중요해지고 있는 가운데 일선 학교 교사에게 일대일 맞춤 첨삭지도를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 있다.충남교육연구정보원이 운영하는 온라인 교수학습지원센터(http://tlac.edus.or.kr) ‘논술준비OK’이다.학생들이 올린 글에 대한 개별문장, 단락구성, 논지전개 등의 첨삭지도와 총평을 일선 학교 교사들에게 지도받을 수 있다.특히 충남지역 일선학교 240명(초교 125명, 중교 55명, 고교 60명)의 교사들이 1대 1로 첨삭지도를 해 학생과 학부모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충남교육연구정보원 김재숙 연구사와 박지현 교사, 충남 합덕제철고등학교 김준용 교사 등의 도움을 받아 1대1 논술 첨삭지도 사례를 놓고 논술을 공부해 본다.■논제최근 우리나라의 여성 산악인 오은선 대장이 히말라야 8000m급 14좌의 마지막 봉우리, 8091m 안나푸르나 정상을 밟았다. 산소가 부족한 극한 상황에서 거친 숨을 몰아쉬며 고산병을 견뎌낸 의지와 체력은 가슴 뭉클한 감동이었다.다음 제시문을 바탕으로 사람이 높은 산에 오를 때 호흡이 빨라지고 저산소증과 같은 이상증세가 나타나는지 원인을 밝히고, 동물 라마가 고산지대에 어떻게 적응해 저산소 상태를 극복하는지 설명하시오.◆제시문 가엄홍길 씨는“8000m 위에서 움직이는 것은 자신도 모르게 무의식 상태로 빠져드는 것과 같다”라고 말했다. 라인홀트 메스너는“본능적으로 오래동안 깨어 있어야 하고, 강제로 피를 돌려야 한다”라고 말했다. 모두 고소증(고산병) 탓이다. 일반인은 해발 3000m만 되어도 머리가 어지럽고 숨이 가빠지는 등 고소 증세를 느낀다. 훈련받은 산악인도 대부분 7000m를 넘어서면 신체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한다.고도 8000m에는 산소가 평지의 4분의 1밖에 없다. 고소증은 고산지대에 급히 올라갔을 때 나타나는 두통·구토·불면증 따위 증세를 말한다. 심해지면 폐나 뇌에 물이 차는 폐부종이나 뇌부종이 생겨 호흡곤란이나 의식 저하로 이어지기도 한다. 원인은 하나, 산소량 부족이다. 대기 중 산소 비율은 일정하지만, 고도가 높아지면 기압이 낮아져 같은 부피 안의 절대 산소량이 줄어든다. 5000m 올라갈 때마다 기압은 두 배로 낮아져, 8000m에서는 산소량이 평지 산소량의 3분의 1 정도로 줄어든다. 가만히 서 있기만 해도 경보를 할 때처럼 숨이 가빠진다.시사 IN 2009.7.23◆제시문 나헤모글로빈이 산소와 결합하는 정도는 산소의 분압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것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을 산소 해리 곡선이라 한다. 혈액이 함유할 수 있는 전체 산소의 양에 대한 현재 함유하고 있는 산소의 양을 상대적인 비율로 나타낸 것이 산소 포화도이다.헤모글로빈의 산소 포화와 해리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소는 산소 분압이지만 이산화탄소 분압, 체온, pH 등도 영향을 준다. 폐포에서는 외호흡에 의해 산소 분압이 높아지고 이산화탄소의 분압이 낮아지므로 산소 포화도가 높아진다. 반면에 조직에서는 세포 호흡에 의해 산소 분압이 낮아지고 이산화탄소의 분압이 높아지기 때문에 산소 포화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폐포의 모세 혈관에서 포화된 산소는 조직의 모세 혈관에서 해리되어 조직 세포에 공급된다.격렬한 운동을 하는 경우 세포 호흡이 증가돼 조직에서 이산화탄소의 발생이 많아지므로 더 많은 산소가 해리돼 조직 세포에 공급된다.대한교과서 생물1◆제시문 다자료 1은 평지에 사는 인간과 안데스 산맥의 해발 5000m까지의 고산 지대에 사는 라마의 헤모글로빈의 산소 포화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자료 2는 흉강과 폐포 내부의 압력 변화로 생기는 흡기와 호기를 나타낸 것이다. ㈜중앙교육진흥연구소 교과서 생물Ⅰ◈ 유의사항① 추상적이 아닌 과학적 원리를 제시하여 설명할 것② 제시문의 자료를 근거로 활용할 것③ 한글 맞춤법에 의거해 700자 내외로 쓸 것■학생 논술문=충남 부여여고 학생-첨삭지도=충남 합덕제철고등학교 김준용 교사첨삭 이번 논술 주제는 호흡운동과 고산병으로 고도에 따른 산소 분압의 변화와 함께 호흡운동을 설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다음으로 고산지대에 라마가 적응한 방법을 제시문을 바탕으로 설명하면 됩니다.따라서 논제에서 요구하는 내용은 ▲고산지대에서 저산소증이 발생하는 이유 ▲고산지대 동물(라마)의 적응 방법입니다.학생 사람이 높은 산에 올라가면 호흡이 빨라지고, 저산소증으로 두통·구토·불면증과 같은 이상증세를 보이게 된다. 심하면 폐나 뇌에 물이 차는 폐부종이나 뇌부종이 생겨 호흡곤란이나 의식 저하로 이어지기도 하는데, 이러한 증세를‘고산병’이라 한다.첨삭 첫 문단은 제시문에 주어진 고산병에 대한 증세를 인용하면서 도입하고 있으며, 비교적 무난하게 시작했습니다.학생 제시문 가에서 볼 수 있듯이 고도가 높아지면 기압이 낮아진다. 그런데 대기 중의 산소 비율은 일정하므로 고도가 높아질수록 대기 중의 산소 분압이 낮아진다. 대기 중의 산소 분압이 낮아지면 제시문 나와 제시문 다-자료 1의 사람의 산소해리곡선에서 볼 수 있듯이 폐를 지나는 헤모글로빈의 산소 포화도가 낮아진다. 그로 인해서 조직의 모세혈관에서 해리되어 조직 세포에 공급되는 산소의 양이 줄어들게 되고, 따라서 우리 몸의 각 조직 세포에서 필요로 하는 산소량보다 공급되는 산소량이 적어져서 고산병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첨삭 고도가 올라감에 따라 산소분압이 감소하는 이유를 잘 설명했습니다. 그러나‘분압’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공기와 같은 기체 혼합물의 총 압력(1기압=760mmHg)은 혼합물 중에 포함된 각 기체의 개별적 압력을 합한 것과 같고, 이 특정기체가 개별적으로 발휘하는 압력을 그 기체의 분압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1기압 상태에서 공기 중 21%를 차지하는 PO2는 760mmHg*0.21=159mmHg 입니다. 그런데 고도가 높아지게 되면, 대기압이 감소하게 되므로 PO2 역시 감소하게 됩니다. 이것은 잘 설명해 주었듯이 공기 중 산소의 비율은 일정하다는 내용과 일치합니다. 실제로 고도 3000m에서는 대기압이 523mmHg 정도로 감소하기 때문에 PO2는 109mmHg가 되게 됩니다.추가적으로 산소분압이 내려간 것과 산소포화도를 관련지어 조직에 공급되는 산소량이 부족해지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잘 설명해 줬습니다.학생 사람은 높은 곳에 가게 되면 고산병으로 고생을 한다. 그래서 대부분의 일반 사람들은 고산지대에서 생활을 할 수가 없다. 하지만 고산지대에 사는 동물 라마는 이렇게 산소량이 적은 고산지대에서도 잘 적응하여 살아가고 있는데, 그 이유는 제시문 다의 자료 1을 보면 알 수 있다. 자료 1을 보면 라마는 사람과 비교했을 때, 낮은 산소 분압에서도 산소 포화도가 높다. 그로 인해 조직의 모세혈관에서 해리되어 조직 세포에 공급되는 산소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라마는 고산지대의 저산소 상태에서도 잘 적응해 살 수 있는 것이다.첨삭라마가 고산지대에 적응한 방법을 설명하고 있는데, 제시문에 주어진 산소해리곡선을 잘 해석해 줬습니다.전체적으로 군더더기 없이 깔끔하게 논술문을 작성해 주었습니다. 산소분압, 산소해리곡선 등에 대한 이해도 잘 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생물을 좋아하고 열심히 하는 학생이라 생각됩니다. 앞으로도 좋은 논술문을 작성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수고 많았습니다.이 문제는 충남교육연구정보원이 운영하는‘edus충남 교수학습지원센터’에서 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