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 농축수산물 핵심검사 안하고 '적합 판정'
지난 3월 일본의 원전사고로 국내 수입 농축수산물의 안전성에 비상이 걸린 가운데 일본산 먹을거리에 대한 정부의 부실한 방사능 감시 체계가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국회 농림수산식품위 류근찬(자유선진당·보령·서천) 의원이 농림수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정부가 국내로 수입되는 농축수산물에 대해 방사능 검사의 핵심인 플루토늄과 스트론튬 검사를 제외한 채 방사능 적합판정을 내리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정부는 현재 9대의 방사성 물질 검사 기자재를 보유하고 있으며, 일본산 농축수산물 수입 시 요오드와 세슘에 대해서만 검사를 하고 있다.
그러나 플루토늄과 스트론튬도 인체에 해로운 방사성 물질로 분류되고 있지만 이를 검사할 수 있는 기기는 단 1대에 불과한데다 그나마도 실제 검사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산 농축수산물에 방사성 물질인 플루토늄이나 스트론튬이 함유돼 있어도 국내엔 이를 제대로 검사할 체계조차 구축돼 있지 않다는 것이다.
플루토늄은 어떤 방사성 물질보다 인체에 치명적인 해를 끼쳐 ‘악마의 재’라는 별칭까지 붙어 있다.
또 스트론튬은 요오드나 세슘보다 인체에 더 오래 악영향을 미치며 암을 유발하는 물질로 알려졌다.
농림수산식품부 관계자는 이에 대해 “검사기기도 단 한 대 뿐이고 검사기준도 없어 현실적으로 플루토늄과 스트론튬은 검사가 힘든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고 류근찬 의원은 전했다.
이에 대해 류근찬 위원은 “방사능 물질이 함유됐을지도 모르는 일본산 축수산물을 수입하면서 방사능 검사조차 제대로 하지 않는 것은 정부가 국민의 먹을거리 안전을 완전히 무시하는 행태”라며 “당장 일본산 농축수산물 수입을 전면 금지하고 해당 안전기준을 마련하는 동시에 검사장비도 추가로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