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부산·강릉·광주 3개 노선 시범운영…마일리지 제공

고속버스의 교통사고를 예방하고 사고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승객이 고속버스 안전운행에 직접 참여해 도움을 주는 ‘국민안전 승무원제’가 운영된다. 국토교통부는 내달 20일부터 올해 말까지 ‘국민안전 승무원제’를 시범 운영한다고 28일 밝혔다.

국민안전 승무원제란 고속버스를 이용하는 승객이 교통사고나 버스 내 화재 등 비상상황 발생 때 운전기사와 함께 다른 승객들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도움을 주고 고속버스의 이상 운행 및 이상 징후 포착 시 이를 운전기사에게 알려주는 제도다.

현재 항공사에서 운영 중인 항공기의 비상상황 발생 때 승무원과 함께 다른 승객들의 대피를 조력하는 비상구 좌석제도와 유사한 것으로 고속버스에 맞도록 적용해 시범 도입했다.

국민안전 승무원제가 시범 도입되는 노선은 운행횟수가 확보된 주요 노선으로 서울~부산, 서울~강릉, 서울~광주 3개 노선에 운행 중인 프리미엄 고속버스가 주 대상이다.

운전기사와 소통이 용이하고 전방 시야가 확보된 3번 좌석을 국민 안전 승무원 좌석으로 지정해 운영할 계획이라고 국토부는 전했다.

국민안전 승무원제는 내달 20일부터 고속버스 통합예매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으로 3번 좌석 예매를 통해 참여할 수 있다.

국민안전 승무원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고속업계에서는 지정좌석을 예매하는 승객에게 추가 프리미엄 고속버스 마일리지(1%)를 제공하고, 시범도입 기간 동안 매월 추첨을 통해 기프티콘 증정 행사도 시행할 계획이라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세종=전병찬 기자 bc1201@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