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택용 충남농업기술원 원예연구과장

FTA에 의한 개방화, 농촌의 고령화 및 영세한 영농규모 등으로 농가 경제가 힘들어 지고, 가뭄, 폭염 등의 기상이변과 온난화로 농업환경 또한 어려운 실정이다. 이 시점에서, 농업을 지속가능한 미래 성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서 정밀농업과 생산성 향상이 가능한 스마트팜은 4차산업혁명에 대응한 최고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농업선진국인 네덜란드는 온·습도, 일사, CO2 등을 측정하는 각종 센서 등 스마트팜 기자재가 규격화되어 있고 내구성과 신뢰성이 우수하다. 또한 수십 년간 누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세계 최고수준의 온실 환경제어 시스템을 개발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시스템과 인력을 수출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스마트팜 기술 수준은 네덜란드 대비 약 10년 정도의 격차가 있는 1.5세대로 볼 수 있지만 농촌진흥청, KIST를 중심으로 인공지능과 IoT, 빅데이터 수집 분석 등을 융합한 미래대응 농업시스템 개발에 힘쓰고 있다.

정부에서는 ‘스마트팜 종합대책’을 마련(2018년 4월)해 혁신밸리 조성 등 농업경쟁력 제고와 청년 유입을 촉진하기 위한 스마트 팜 보급과 R&D, 산업 생태계 조성을 포함한 생산, 유통, 소비 등의 정책을 추진하며, 2022년까지 시설원예 7000㏊(시설현대화 면적의 70%), 축산농가 5750호(전업농의 10%)에 스마트 팜을 보급하는 데 힘쓰고 있다.

충남도에서도 관련 시군, 전문가, 농업인 단체 등과 토론회 등을 통하여 ‘충남형 스마트 팜 육성계획’을 수립(2019년 상반기)하여, 충남 실정에 맞는 스마트농업을 준비 중이다. 충남농업기술원에서는 선진국 수준의 품질 및 생산량이 가능한 최적생산 모델 개발 등 스마트팜 현장 실용화 연구는 물론 ‘스마트팜 현장지원센터’를 운영하여 기자재 점검 및 부품교체 등을 지원하고, 스마트팜 재배환경·생육정보의 모니터링을 통한 컨설팅으로 도움을 주고 있다. 또한 농업인대학에 스마트팜학과를 개설 운영하고, 세미나 및 워크숍을 개최하여 전문농업인의 역량을 갖추도록 힘쓰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팜의 신속한 확산을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문제점도 적지 않다. 스마트팜 도입 농가 간에 ICT 시설 및 활용도 차이로 생산성 및 품질 격차가 크므로 농가의 시설운영 역량을 높여야 하며, 작목별 전문성을 가진 전문 컨설턴트 육성도 매우 시급하다. 선진국 수준의 수량과 품질에 도달하기 위하여 빅데이터 수집 예산과 범위를 확대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해 최적의 생육 관리를 위한 S/W 개발도 필요하다. 특히 국내 환경과 여건에 최적화된 시스템, 즉 농업인이 활용하기에 쉽도록 개선되어야 하고 스마트팜 보급 단가를 최대한 인하하는 것도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스마트팜이면 무조건 잘 된다는 섣부른 생각보다는 그 좋은 시스템이 농업에 실제적으로 활용되도록 농업인들은 잘 준비하고 정부와 지자체는 적기 적지에 지원하며, 현재 쌓여있는 문제를 하나씩 해결해 나간다면 스마트팜이 활성화될 것이다. 나아가 청년농업인도 증가하여 농업의 미래는 희망으로 다가오며, 스마트팜 관련 산업은 국가 성장동력원으로 자리잡게 되어, 스마트팜 운영 농민은 부농의 꿈을 활짝 펼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