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리실·국토부·기재부 등 입주 1단계 1·2구역 11월까지 완공
2030년까지 인구 50만명 수용 수준 높은 교육·문화시설 구축

지난달부터 첫마을 1단계지구의 입주가 시작돼 본격적인 세종시 시대를 열어젖힌 것을 비롯해 오는 7월 1일 법적으로도 세종시가 공식 출범해 명실 공히 행정중심복합도시의 시대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우리가 일상에 집중하며 무관심으로 일관하던 사이 세종시 건설은 꾸준히 추진돼 엄청난 위용을 드러낼 준비를 하고 있다.
◇정부청사 건립 현황

연말 기관들의 입주를 앞두고 청사 건물의 건축공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연말까지 세종시로 이전하게 될 기관은 모두 12개로 이 가운데 총리실과 조세심판원 등 2개 기관은 4월에 준공되고, 국토해양부를 비롯한 기획재정부, 공정거래위원회, 환경부, 농림수산식품부, 복권위원회, 중앙토지수용위원회,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중앙해양안전심판원,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등 10개 기관은 11월에 준공될 예정이다.
4월 준공 청사는 80% 중반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고, 나머지 10개 기관은 40%에 육박하는 공정률을 보이고 있다.
1년 후인 2013년 말 입주해 2014년부터 업무를 시작할 지식경제부 등 18개 기관은 최근 공사가 시작됐다.
마지막으로 이전하게 될 법제처 등 6개 기관의 청사는 2012년 하반기 착공해 2014년 10월 무렵 준공될 예정이다.
2014년 말 세종시로 이전 계획된 모든 기관들의 이전은 끝나 2015년부터 실질적인 세종시 시대가 열리게 된다.

세종시는 2030년까지 인구 50만 명을 수용하는 것으로 계획돼 있다. 50만 명 인구에 맞는 학교 수는 150개로 인구의 유입에 맞춰 연차적으로 설립된다. 3개 특수목적고등학교도 설립될 예정으로 2013년 외국어고를 시작으로 2014년 과학고, 2015년 예술고가 연이어 개교한다.
3월 개학을 앞두고 세종시 예정지역 내 처음으로 첫마을에 6개 학교가 개교한다.
최근 세종시 첫마을과 대전 유성을 연결하는 광역도로가 처음 8차로로 개통된데 이어 오송역 연결도로, 천안논산고속도로 정안IC 연결도로, 대중교통중심도로 등이 연이어 개통될 예정이다.
◇문화시설과 종합병원
세종시 초기 정착단계에 이주해 거주하는 주민들의 생활불편은 일정정도 피할 수 없을 전망이다.
세종시의 위상을 대내외적으로 드러낼 대통령기록관과 국립도서관, 아트센터 등의 문화시설들은 대개 2015년에 준공될 예정이다.
아울러 세종시의 랜드마크가 될 박물관단지도 12만㎡에 2015년부터 단계적으로 건립될 계획이다.
박물관 단지에는 디지털문화유산박물관, 국가기록박물관, 도시건축박물관 등이 들어서게 된다.
앞으로 수년간 세종시 입주민들은 인접한 대전시, 청주시, 공주시 등지의 문화인프라를 이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의료 환경도 비슷해 개인병원은 주거단지의 입주와 더불어 생겨날 것으로 전망되지만 종합병원은 인구가 20만 명 이상이 될 무렵부터 입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공공디자인 개념의 도입
대개의 기존 도시는 개별시설물 위주의 무분별한 디자인이 남발돼 주위환경과 부조화를 이루고 도시 전체가 극도로 혼란한 상황을 연출하기 일쑤다.
계획도시인 세종시는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공시설물의 통합디자인을 적용한다.
이에 따라 절제되고, 조화롭고, 맥락적인 디자인을 설계원칙으로 설정하고 개별시설물의 설계를 진행하게 된다.
세종시 건설을 관장하고 있는 행정중심도시건설청은 지난해 11월 세종시에 설치되는 총 44종의 공공시설물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담은 ‘행복도시 세종, 공공시설물 디자인사전’을 발간했다.
디자인사전은 공공시설물의 설계지침으로 활용돼 생활권 도로 및 대중교통중심도로 등에 이를 적용한 공공시설물이 설치된다.
<이전 논란 세종시 청사 진행상황 ··· >
예정대로 연기 대평리 일대 4월 착공할 듯

그러나 세종시청사는 예정대로 현재의 금남면 대평리 일대인 세종시 예정지역 강남지역에 건립된다.
세종시 청사는 지난 2011년 3월부터 설계에 착수해 2011년 말 완료된 상태이다. 1월 중 설계용역에 대한 준공검사와 일상 감사를 실시하고 1월 20일 무렵 조달청에 계약을 의뢰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공고와 계약체결 등의 절차를 거치게 되면 대략 4월 무렵 공사에 착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공사에 소요되는 기간은 대략 20개월로 계획대로라면 2013년 12월 말에 세종시청사는 준공된다.
며칠의 시운전을 거쳐 2014년 1월부터 신청사에서의 근무가 시작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7월 출범하는 세종시는 1년 6개월 동안 제1임시청사가 될 현재의 연기군청사와 함께 제2임시청사를 임차해 사용하게 된다.

▶▶ 단 돈 《 만 원 》 으 로 대 박 의 행 운 을 ◀◀
★ 5억이상 출금자 20명이상 배출★ w w w. maca7979 . c o m
★ 1억까지 스피드 출금 - 고객맞춤 1:1 안전계좌 운영 ★
▶첫 입금시 10프로 추가 충전 ★
★ www . maca7979 . c o m ★ www . maca7979 . c o 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