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박현규 교수 연구팀
터치스크린 방식 폰 이용
생체분자 검출 기술 개발

터치스크린 방식의 스마트폰을 이용해 질병을 진달할 수 있는 원천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16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 따르면 생명화학공학과 박현규 교수 연구팀은 정전기 방식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해 생체분자를 검출하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생체 시료를 터치스크린에 반응시키면 전기적 변화로 질병을 진단할 수 있다는 가설을 증명했다.
연구팀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정전기 방식의 터치스크린이 일반적으로 손가락의 접촉을 통해 발생하는 터치스크린 표면의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해 작업을 수행하도록 설계돼 있다는데 착안해 연구를 설계했다.
대표적인 생체분자인 DNA가 자체적으로 정전용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전기 방식의 터치스크린이 생체분자 검출에 활용될 수 있다고 확신한 연구팀은 성병 유발 인자 중 하나인 클라미디아 DNA를 터치스크린에 접촉시킨 결과 기존 고가의 대형 장비로 검출한 데이터와 완벽하게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모바일 기기의 입력장치로만 이용된 터치스크린으로 생체 분자를 분석할 수 있음을 세계 최초로 입증한 것”이라며 “DNA뿐만 아니라 세포, 단백질, 핵산 등 대부분의 생체분자가 정전용량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기술이 성숙되면 향후 터치스크린 기반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로 개인이 직접 질병을 진단할 수 있는 시대가 올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화학 분야의 세계적 학술지인 ‘앙게반테 케미(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1월호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이기준 기자 lkj@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