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리지(擇里地)에 나타나는 금강 유역을 살펴보고자 한다. 덕유산과 마이산 사이의 동서 여러 고을의 내와 골짜기 물이 합쳐서 금강의 근원이 되는데 이를 적등강(赤登江)이라 한다. 이 물이 남쪽에서 북쪽으로 흘러서 옥천 동쪽에 이르러 다시 속리산의 물과 합쳐서 서쪽으로 굽어 흐르면서 금강이 된다고 했다. 또 적등강 동쪽은 장수, 무주, 영동, 황간, 청산, 보은이고, 서쪽은 진안, 용담, 금산, 옥천이다. 이 가운데 장수, 무주, 금산, 용담, 진안은 전라도의 경계가 되고, 옥천, 보은, 청산, 영동, 황간은 충청도의 경계라 했다.
택리지의 자료로 미뤄 보아 적등강은 무주의 용담댐 부근에서 내려오는 하천의 물과 무주의 남대천 물이 만나는 지점에서 시작돼 금산의 봉황천이 합류하고 심천에서 영동천과 초강천이 합류하며 청성의 보청천이 합류한다. 이는 서쪽으로 흘러 대전의 갑천을 아우르고 충북지역에서 내려오는 미호천과 합류하는 세종시 합강리 지점까지로 봐야할 것이다. 그러므로 금강은 세종시에서 시작하여 공주, 청양, 부여, 논산, 익산, 서천을 지나 장항과 군산 앞 바다로 흘러가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잃어버린 적등강의 이름을 되찾고, 현재 잘못된 하천과 강의 물줄기 체계를 바로 잡아야 할 것이다.
무주와 장수는 덕유산 아래에 있어 우거진 산림과 깊은 골짜기가 많으나 산세는 답답하며 영동은 속리산과 덕유산 사이에 있다. 동쪽의 추풍령은 이름은 비록 영(嶺)이라고 하지만 사실은 평지라 하겠다. 그러므로 산은 비록 많다 하여도 그리 크지 않고 평평하지도 않다. 암석과 봉우리가 모두 윤택하고 순하며 맑은 기색을 띠고 있고 냇물과 샘물은 맑고 깨끗하여 사랑스럽고, 조잡하거나 급한 기상이 없다. 토지 또한 비옥하고 물도 수량이 풍부하여 가뭄의 피해도 적다고 하였다.
청산은 땅이 몹시 메마르다. 북쪽은 보은에 접했는데 오직 관대 (지금의 청주 남쪽)는 들이 넓고 땅이 기름져 사람이 가장 살 만한 곳이다. 두 읍의 풍토가 모두 대추 농사에 알맞으므로 백성들은 대추 매매를 직업으로 삼기도 한다. 보은의 북서쪽에 있는 회인은 첩첩 산골에 있어 고을은 대단히 작으나 그 가운데 풍계촌(風溪村)은 살 만한 곳이다.
진안은 마이산 아래에 있는데, 토질이 연초 재배에 알맞다. 그래서 온 동네는 물론 산꼭대기라도 이를 심으면 무성하지 않는 곳이 없어, 많은 주민들이 이를 업으로 삼는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