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예대율 산정 대비하려”
기준 금리 인하로 시중은행들이 예·적금 금리를 줄줄이 내리고 있지만 중간 중간 고금리 특판 상품을 내놓고 있다. 현 시점에 고금리 상품은 은행입장에선 분명 손해 보는 장사지만 내년을 위한 대비를 미리 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고금리 상품의 경우 대부분 수신상품의 만기 시점에 ‘탈(脫)고객’을 막고자 출시하는 경우가 많다. 보통 연말에 많은 편이지만 이례적으로 은행들이 최근 고금리 특판 상품을 내세우고 있는 것은 고객 이탈 방지와 내년 적용될 예대율 규제에 선제적 조치를 하기 위함이다.
은행들은 예대율 규제로 가계부채 가중치는 15% 늘고 기업부채 가중치는 15% 낮아진다. 같은 100만 원을 빌려줘도 가계에는 115만 원을, 기업에겐 85만 원을 빌려준 효과가 있어 부채비율을 따질 때 은행에게 가계부채는 큰 부담이 된다.
그동안의 가계대출 수익이 더 이상은 힘들다는 뜻이다. 당장 가계부채를 줄이고 기업부채를 늘리는 데 한계가 있자 은행들은 수신을 늘리는 쪽을 택하고 있는 거다. 예대율 산정에 있어 수신은 분모에 해당하기 때문에 예·적금 상품을 늘려 수신 규모를 늘리려는 방법이다. 물론 고금리 특판 상품의 경우 만기가 타 상품대비 짧은 편이라 수신을 늘리는데 큰 도움은 안 되지만 고객 유치를 위한 유인책이나 脫고객을 막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송승기 기자 ssk@ggilbo.com
송승기 기자
ssk@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