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 공급·만기 연장·금리 감면 등 확대
일본 수출규제 조치로 인한 국내 피해기업들이 늘자 금융권이 전방위적인 지원에 나서고 있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한국산업은행, 수출입은행, 기업 은행 등 정책금융기관들과 함께 전담작업반 구성을 추진한다. 수출 규제로 인해 피해를 보는 기업에 대한 금융 지원 방안은 유관기관들과 긴밀히 논의해 왔다. 실물 경제 충격 완화를 위한 범정부 종합 대응방안의 일환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산업적으로 피해를 보는 기업들을 위한 금융 지원 방침에 따라 일종의 태스크포스(TF)를 꾸리려는 것"이라며 "일본 정부가 화이트리스트 배제에 대해 구체적으로 어떤 결정을 내리는 지에 따라 유동적이긴 하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시중은행들도 신규자금 공급, 만기연장, 금리감면 등의 지원책을 내놓고 있다. KB국민은행은 화이트리스트 배재로 인한 수출 피해를 입은 중소기업에 대한 긴급 금융지원 방안을 마련해 5일부터 시행한다. ‘긴급 경영안전자금’을 공급, 피해 중소기업에 대한 유동성 지원에 나선다. 만기도래 여신에 대해서는 상환을 유예하고 최대 2%포인트의 우대금리도 제공한다. 분할상환대출을 보유한 피해기업은 원금 상환을 유예해 상환부담을 낮춰줄 예정이다. 수출·입 기업들에겐 환율 우대와 함께 외국환 관련 수수료 감면·면제 혜택을 제공해 기업 비용부담을 줄여준다.
우리은행도 3조 원 규모의 금융을 제공하는 등 다각적 지원방안을 추진한다.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대표적 수출규제 피해산업의 협력사를 위해 1조 원 규모의 상생대출을 실시하고, 신보·기보의 특별출연을 통해 이달 중으로 5000억 원을 우선 지원해 내년까지 1조 5000억 원 규모의 여신을 제공할 예정이다. 피해기업의 유동성 지원을 위해 우선적으로 500억 원 규모의 ‘경영안정 특별지원자금’을 조성하고 만기연장이나 분할 상환, 납입기일 유예 등을 통해 상환 부담을 낮춰줄 예정이다.
신한은행의 경우 피해기업을 대상으로 업체당 10억 원 이내 총 1조 원 규모의 신규 대출을 지원한다. 대출금 분할상환 기일이 도래하면 분할상환을 유예해주고 신규·연기 여신에 대해서 최고 1%포인트까지 금리도 감면한다. 또 국내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소재·부품 기업 여신지원 전문 심사팀도 신설 운영한다.
송승기 기자 ssk@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