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트리스트, 미·중 무역갈등에/기업 자금난 발생할 가능성 커/은행대출로 위기 넘길수 있지만/연체율 증가하면 은행권도 부담

기업의 잠재적 부실이 빠르게 늘고 있는 가운데 국내·외 경제여건 상황이 좋지 않아 중소기업과 은행들 모두 ‘속앓이’를 하고 있다. 중소기업들은 한껏 움츠러든 국내 경제상황에 이어 일본의 경제도발, 미·중 무역 갈등 재점화 등으로, 은행은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커진 여신 규모와 이에 따른 연체율 위험부담 때문이다.

최근 일본이 한국을 백색국가(화이트리스트)에서 배제하자 대전·충남지역의 중소기업들은 바짝 긴장한 상태다. 특히 제조업 비중이 높고 반도체와 정밀가공기업들이 몰려있는 충남 일부 지역은 더욱 심하게 상황을 주시하는 중이다. 여기에 미국과 중국이 다시 한 번 무역 갈등을 보이고 있단 점을 감안하면 우려되는 경영 악화는 현실이 될 가능성이 높다.

대전의 한 중소제조업체 대표 송 모 씨는 “이미 예상했던 타격이었지만 장기화 조짐에 회사의 재정적 타격이 이어지고 있다. 상황을 타개하고자 대출을 받고 싶어도 상환을 제대로 할 수 있을까 걱정된다”고 하소연했다.

대외적인 경기악화가 지속될 것으로 보여 중소기업들이 은행은 찾는 발걸음은 점차 늘어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은행 역시 걱정이 되는 건 매한가지다. 기업 대상 여신은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인 상황에서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연체율이 발생할 여지가 있어서다. 지난달 말까지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우리·KEB하나·NH농협)의 중소기업 대출 잔액은 431조 4000억 원으로 올해만 17조 9700여 억 원 늘었다.

당장 기업 연체율이 안정권에 머무르는 중이지만 화이트리스트 문제와 미·중 무역 갈등에 따른 문제가 장기적으로 발생하면 은행권 역시 위험부담이 늘어날 여지가 충분하다. 실제 지난 2분기 기준 주요 5대 은행의 총여신 연체율은 대부분 0.3%대로 전분기와 근소한 차이를 보였지만 중소기업을 포함한 기업대출금 실질연체율은 0.2~0.4%로 조금씩 오르고 있는 중이다.

이 같은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은행은 선택적 수단으로 ‘기술 갖춘 곳’을 위주로 대출 이자 우대 등을 실시하고 있지만 ‘우량 중소기업만 혜택 받는 것 아니냐’는 따가운 여론이 존재하는 게 사실이다.

대전 시중은행 한 중소기업 담당자는 “전체적으로 나라 안팎으로 어려운 상황이라 유연한 심사기준을 두려하지만 어떤 기업인지 제대로 판별하기 위해선 시간적·제도적으로 한정될 수밖에 없어 고민 중”이라며 “핵심 기술력을 갖췄지만 일시적으로 유동성에 곤란을 겪는 기업을 필터링하는 체계를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송승기 기자 ssk@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