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설위원

[금강일보 김도운 논설위원 기자] 최근 허태정 대전시장이 예고 없이 불쑥 대전시와 세종시의 통합에 대해 발언하자 충청권이 화들짝 놀랐다. 통합론은 이전부터 거론되던 것이 아니라 이날 기습적으로 발표된 것이었다. 그러니 지역사회가 놀랍다는 반응을 보이는 것은 당연했다. 선례를 살펴보면 작은 행정구역을 통합하는 것만 해도 여간 어렵지 않은데 광역 지자체를 통합하자는 의견을 개진했으니, 양 지역 주민 사이에서 놀랍다는 반응이 나오는 것은 당연했다. 굳이 양 지역의 반응을 살펴보면 대전시민은 호기심을 보이는 가운데 무덤덤한 기류가 우세했지만, 세종시민은 예민하게 반응하며 단번에 반대의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세종시의 공식 입장도 부정적이었고, 세종지역 정치인들의 반응도 그러했다. 갖은 노력 끝에 애써 특별자치시가 출범했는데 인접한 광역시가 통합론을 들먹이니 당혹스럽다는 분위기가 역력했다. 반응이 즉각적으로 나온 것으로 보아 깊은 통찰을 통해 이해득실을 따져보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대전시가 제시한 통합론이 세종을 대전의 자치구 정도로 흡수하겠다는 의도로 생각한 듯하다. 대전시가 어떤 구체적 구상을 하고 있는지 확인되지 않았지만, 세종주민들은 흡수통합을 염두에 두고 위기감을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통합론에 일부 찬성의 뜻을 가진 이도 있겠지만 그들의 목소리는 들리지 않았다.

지금까지의 행정구역 변천사를 살펴보면 쉽게 이루어진 경우가 거의 없다. 오랜 시간에 걸쳐 토론과 설득의 과정을 거쳐 진통 속에 성사되었다. 주민투표라는 최후의 방법이 동원되기도 했다. 청주시와 청원군이 통합해 청주시가 될 때도 그러했고, 창원시, 마산시, 진해시가 통합 창원시로 출범할 때도 그러했다. 통합이 추진될 때를 돌이켜보면 대부분 인구나 경제 규모 등 세(勢)가 약한 지역이 유난히 반대 목소리를 높였다. 일방적으로 한 지역에 흡수되면 정체성을 잃을 수 있다는 우려가 표출되었다. 대전시와 세종시의 통합론이 제시됐을 때도 비슷한 상황을 보였다. 대전에 비해 세종에서 유독 예민한 반응이 나타났다.

지금까지 행정구역이 통합되거나 분리된 사례는 시·군·구 또는 읍·면·동 정도에 그쳤다. 광역 지자체가 통합한 사례는 없었다. 그래서 터무니없다는 반응을 보이는 이들도 적지 않았다. 광역시·도의 통합은 사례가 없는 만큼 주민들의 머릿속에 쉽사리 그림이 그려지지 않는 모양새다. 그러나 양 도시의 통합은 실현 가능성이 없는 허무맹랑한 일이 아니다. 두 도시는 이미 유기적 공생관계에 있는 단일 생활권인 데다, 통합한다고 해도 인구 200만 명을 밑도는 수준이다. 가능성을 처음부터 완전차단할 이유는 없다.

부산(340만 명), 인천(295만 명), 대구(243만 명)에 비한다면 양 도시가 통합해도 기존 광역시와 비교해 부작용 많은 비대한 도시의 출현을 염려할 정도는 아니다. 더구나 부산은 기장군, 대구는 달성군, 인천은 강화군과 옹진군을 같은 광역 행정구역으로 운용하고 있음을 고려하면 양 지자체의 통합 가능성은 무조건 벽부터 치고 볼 일은 아니다. 가능성을 열어두고 무엇이 득이 되고 무엇이 실이 될지 충분히 따져본 이후에 방향을 설정해도 늦지 않는다. 물론 주민들의 의견을 정확하게 파악해보는 일도 중요하다. 안 된다는 결론부터 내놓고 거기에 맞춰 안 되는 이유를 만들어갈 필요는 없다.

통합을 통해 양 지역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고, 지역민에게 도움이 된다면 굳이 하지 않을 이유는 없다. 그렇다고 급하게 서두를 필요도 없다. 시간을 두고 차근차근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검토해 볼 만하다. 충분히 점검해보고 득보다 실이 많다는 결론에 도달하면 그때 가서 반대 목소리를 내도 늦지 않다. 변화는 누구에게나 두려움의 대상이다. 하지만 실익을 얻을 수 있다면 두려움을 털어내고 변화를 수용해야 한다. 굳이 안 된다는 생각을 앞세울 이유가 없다. 대전시와 세종시의 통합 문제는 충분한 시간을 두고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성급히 결론을 낼 일이 아니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