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서도 예술이 될 수 있다고?!
거리의 혁명가, 뱅크시와 한복을 입은 흑인을 그리다, 심찬양.
소수자의 예술에서 인정 받는 대중예술로써의 발전. 그라피티(graffiti) 예술.

그라피티(graffiti)란 벽과 같은 사물들에 낙서를 하거나 스프레이와 페인트 등으로 그림을 그리는 예술을 말한다. 그라피티(graffiti)의 어원은 이탈리아어의 ‘graggito’와 그리스어 ‘sgragffito’로부터 파생되었다. 이 두 단어는 각각 ‘긁어서 새기다.’라는 뜻을 가진 단어들로써 벽과 같은 사물들에 낙서를 하거나 스프레이와 페인트 등으로 그림을 그리는 예술인 그라피티(graffiti) 예술에 잘 어울리는 어원으로 보인다.
또한 ‘그라피티(graffiti) 예술’이라고 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흑인들의 문화라고 생각을 하지만 따져보면 그라피티 예술은 우리의 생각보다 역사가 더 깊다. 그라피티 예술의 특징 중 하나가 ‘낙서가 곧 예술이 된다.’이기에 더욱 역사가 깊을 수밖에 없는 예술이기도 하다. 그래서 따져보자면 그라피티 예술의 시작은 이집트 유적에서 볼 수 있는 고대 동굴의 벽화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현대에서 그라피티 예술이 ‘예술’로써 인정을 받게 된 과정을 살펴보자.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는 그라피티 예술이 현대 사회에서 본격적으로 각광을 받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 말 미국의 필라델피아에서 ‘콘브레드’와 ‘쿨 얼’이라는 인물들이 태그(tag)를 남긴 행위를 통해서였다. 그들의 태그(tag). 즉, 서명을 시작으로 뉴욕의 브롱크스 거리에서 낙서화가 범람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낙서화의 범람은 소수자들의 예술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그래서 그라피티 예술 발전 초기에는 흑인들과 청소년, 푸에르토리코인들과 같은 소수 민족들이 그라피티 예술을 주도했다고 한다.

이렇게 사회적 차별로 인해 소외 받던 소수자들의 예술 중 하나로 자리매김을 한 그라피티 예술은 점점 발전하였고 그라피티 예술가로서 인정받는 예술인들도 생기기 시작했다. 그라피티 예술가로 인정받은 수많은 예술인들 중 단연코 독보적인 예술인으로는 ‘뱅크시’를 꼽을 수 있다.
뱅크시는 영국에서 주로 활동하는 그라피티 예술인으로서 신원을 밝히지 않고, 예명으로 활동 중이라는 부분부터 특이한 예술인이다. 대표작으로는 <풍선과 소녀>라는 작품과 <꽃을 던지는 사람>, <눈 먹는 소년>등이 있다. 그의 대표작으로도 알 수 있듯이 뱅크시는 그라피티 예술을 통해 사회 풍자적 메시지를 대중들에게 전하기도하며 파격적인 주제 의식을 보여주기도 한다. 그로 인해 뱅크시는 ‘거리의 혁명가’라는 수식어를 얻기도 했다.
이러한 뱅크시의 예술은 대중들에게 사회적 문제와 이슈, 메시지들을 일깨워 줌과 동시에 ‘뱅크시’라는 예술가의 명성이 높아지기도 했다. 그러면서 뱅크시는 자신의 예술을 그라피티 예술에만 제한하지 않고 도서와 영화, 전시 등의 영역으로 넓혀가며 자신의 영향력을 더욱 뻗치고 있다.

이렇게 흥미로우며 뜻 깊은 예술 중 하나인 ‘그라피티 예술’은 외국에서만 실행되고 있는 예술인걸까? 그렇지는 않다. 그라피티 예술은 한국에서 외국 그라피티 예술가들의 전시회가 열리는 등 우리의 생각보다 많은 활동이 진행되고 있으며 우리의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예술 중 하나이다. 또한 우리나라 사람인 그라피티 예술가도 있다. 그는 바로 ‘로얄독’이라는 예명으로 활동 중인 ‘심찬양’이라는 그라피티 아티스트이다.
로얄독은 ‘한복 입은 미셸 오바마’의 모습을 그린 그라피티 아티스트로 유명한 예술인이다. 그는 주로 한복을 사람들을 많이 그렸으며 그 사람들의 인종을 제한하지 않고 아시아인과 흑인 등이 한복을 입은 모습을 많이 표현해 내기로 유명한 그라피티 아티스트이다. 그런 로얄독의 작품 중 대중들의 이목을 많이 끈 작품이 바로 미국 시카고 인근 건물 벽에 그린 ‘한복 입은 미셸 오바마’의 모습이었던 것이다.
한편, 그라피티 예술에 대한 범죄이냐 예술이냐의 논란은 아직도 대중들의 토론 주제 중 하나로 꼽히고 있으며 이러한 토론으로 인해 대중들의 인식이 바뀌기도 하며 그라피티 예술이 더욱 발전해 나가고 있다. 또한 4차산업혁명을 앞에 둔 현재, 저작권 문제가 수면 위로 뜨기 시작하면서 그라피티 예술의 저작권에 대한 이야기도 화제의 중심에 서고 있다.
위홍신 대학생 기자 wi6733@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