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동량 2040년 6억t 부가가치는 15조로
충남 최초 ‘항만발전 종합계획’이 나왔다.
충남도가 31일 도청 영상회의실에서 제1회 항만정책심의회를 개최해 ‘충남 항만발전 종합계획’을 최종 확정했다.
도는 ‘21세기 동북아 환황해권 핵심 항만지역 구축’을 항만발전 중·장기 비전으로 정했다.
목표는 2010년 1억 1700만 톤인 충남 항만 총 물동량을 2030년 3억 9500만 톤, 2040년 6억 톤 향상이다.
도 내 물동량 처리 비중을 10%안팎에서 2030년 17%로 상승시킨다는 것이다.
항만부가가치는 2009년 2조 원(추정)에서 2030년 9조 원, 2040년에는 15조 원으로 높이고 항만산업 종사자는 2009년 4만 6000면에서 2030년 25만 명, 2040년에는 45만 명으로 늘려갈 계획이다.
도는 이를 위해 ▲항만개발 지역경제 성장 동력화 ▲항만 고부가가치 물류 허브화 ▲해양관광산업진흥 및 항만 친수성 강화 ▲항만 개발·관리운영 시스템 선진화 등 4개 전략분야별 주요 추진과제로 세웠다.
도는 대규모 예산이 필요하거나 장기적인 사업은 국가 항만기본계획과 연계해 점진적으로 실행하고 우선 과제에 대해서는 선택과 집중의 원칙에 따라 순위를 정해 추진해 서해안 물류 중심 항만을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구본충 부지사는 “충남이 동북아 환황해권 및 핵심 항만지역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해양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종합계획은 정부의 법정계획인 ‘제3차 항만기본계획’의 장기계획으로서 충청권 항만의 물동량 증가 추세를 고려해 충남에 특화된 장기계획 설정을 위해 마련됐다.
김현호 기자 khh0303@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