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많고 탈 많던 백신 국내 접종 눈 앞
코로나 부작용 대처, 불안감 제거 총력

백신 설명 듣는 문 대통령 / 연합뉴스
백신 설명 듣는 문 대통령 / 연합뉴스

[금강일보 곽진성 기자] 내달부터 우리나라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되는 가운데 안전하고, 신속하고, 효과적인 백신 접종이 우리사회가 머리를 맞대야 하는 담론(談論)이 되고 있다.

대전시가 ‘코로나19 백신 추진단’을, 충남도가 ‘코로나19 예방접종 추진단 및 협의체’를 구성하는 등 충청권 역시 철저한 준비 과정 속에서 완벽한 접종을 수행하기 위한 카운트다운에 돌입했다.

정부와 지자체 등에 따르면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내달 시작된다. 정부는 세계 백신 공동구매 연합체인 코백스 퍼실리티와 개별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화이자, 모더나 등에서 총 5600만 명 분의 백신 구매 계약을 체결해 놓은 상태다. 정부가 선구매 계약을 추진 중인 노바백스 물량까지 확보되면 7600만 명분에 달하는 양을 확보하게 된다.

국내 첫 접종은 코백스 퍼실리티에 신청한 백신 물량 중 일부인 약 5만 명 분으로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와 지자체는 논의 속 최근 구체적 방향을 정해가고 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28일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 시행 계획을 발표, 백신의 우선 접종 대상과 물량, 방식, 유통 등에 대한 계획을 내놓는다. 백신 예방접종의 윤곽은 잡혔다.

질병청은 지난 22일 각 지자체에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 관련 지침을 발송했다. 지침에는 코로나 예방접종 사업개요, 체계, 목표, 추진내용, 사업관리추진체계를 비롯해 집단시설, 노인의료복지시설 등에 대해 코로나예방 접종 방법, 위탁의료기관 운영·관리, 냉동백신 센터 운영이나 관리 코로나19 이상반응 생겼을 때 관리나 대처 방안 등이 담긴 것으로 보인다. 대전시 관계자는 “예방접종지침에는 전반적인 내용이 다 담겼다”고 설명했다.

계획이 점차 구체화되는 가운데 코로나19 백신 부작용 불안감 극복은 여전히 숙제로 남아있다. 백신이 치명적 바이러스를 종식시킬 게임체인저가 될 것이란 희망은 분명하지만 부작용으로 혼란을 야기 시킬 판도라의 상자가 될 것이라는 염려 역시 상당하다는 점에서다. 최근 프랑스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자 130여 명이 부작용 의심 반응을 보이는 등 잇따르는 부작용 의심사례는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

정부는 백신 접종은 물론 부작용 피해에 대해서도 지원·보상한다는 방침을 밝히며 불안감을 누그러뜨리는데 집중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백신 접종 후 부작용이 발생하면 현행 예방접종피해국가보상제도에 따라 보상을 받을 수 있는데, 코로나19 백신도 이러한 기준에 근거해 보상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자체 역시 이상반응 관리 및 역학조사, 피해보상 등의 업무를 통해 일말의 불안을 걷어내는데 총력을 기울일 태세다.

대전시 관계자는 “지침에 코로나19 이상반응 생겼을 때 관리나 대처 등에 대한 내용도 담겼다”며 “지자체와 정부 간 지속적인 의견수렴을 통해 계속 보완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곽진성 기자 pen@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