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눈에 알아보기 쉬운 정리!
흥미로운 중국 신화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
대륙의 신화들 총정리 시간!

오늘은 중국에 대해 알아보자! 중국하면 한푸와 치파오, 만두 등과 같은 의상들과 맛있는 음식들이 떠오를 것이다. 또한 역사와 이야기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이라면 ‘중국’이란 키워드를 들었을 때 ‘중국의 신화’를 떠올릴지도 모른다. 그 이유는 중국에는 수많은 신화들이 존재하며 그는 동화나 이야기처럼 신비롭게 전해 내려오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부터 중국의 수많은 신화가 탄생된 배경과 재밌는 신화들에 대한 마지막 정리 시간을 가져보자!
1. '여와'와 '복희'

중국 신화 속에서 ‘여와’는 인간을 탄생시킨 여신이며 때로는 ‘복희’라는 인물과 함께 남매로 표현되면서 인간 세계를 다시 한 번 번창시킨 인류의 어머니로 표현된다. 그렇다면 ‘여와’라는 한 인물이 이와 같이 2가지 갈래로 표현되는 방식과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보자.
우선 중국 신화 속 여신으로 표현되는 ‘여와’의 이야기를 알아보자. 여와는 반고가 세계를 탄생 시킨 이후 나타나 인류를 탄생시킨 여신으로서 총 10일 간의 기간 동안 인류와 인류에게 필요한 자연을 직접 빚어 만들었다. 여와는 자신이 만든 것 중 인간을 가장 아꼈으며 자신이 빚은 인간을 볼 때면 인간 창조의 어머니의 입장으로서 항상 벅찬 감동을 느꼈다. 하지만 수많은 인간들을 직접 만들어 번창시키기에 어려움을 느꼈던 여와는 자신이 만든 인간들에게 ‘성별’이란 개념을 주면서 인간들이 번창할 수 있도록 도왔다. 이리하여 여와는 중국 신화 속 인간을 탄생시킨 창조의 여신이자 최초의 어머니, 혼인의 신, 삼신 할매의 역할까지 하는 여신으로 여겨졌다. 이외에도 여와는 인간 세상에 어려움이 생기거나 괴물들이 나타날 때면 직접 나서서 해결해 인간 세상의 평화를 지켜 주었으며 인간 탄생 이후 처음 맞이하던 겨울철 인간들의 귀가 얼어 떨어질 때면 그 귀를 실로 묶고, 그 실을 인간의 입에 물게 함으로써 귀를 고쳐주는 등과 같이 자신이 창조한 인간들에게 끝없는 사랑을 보인 여신이다.
다음으로는 여와가 ‘복희’라는 인물과 남매로 표현되는 중국 신화에 대해 살펴보자. 여와와 복희 남매는 땅을 다스리는 신 ‘고비’의 자녀였으며 하늘을 다스리는 ‘뇌공’의 조카들이었다. 형제였던 고비와 뇌공은 서로 상반된 성품을 지녔으며 뇌공은 인간들의 사소한 잘못도 지나치지 않고 벌을 주었다. 이러한 뇌공의 행동을 고비는 인간들을 괴롭히는 행동이라 여겨 결국 전쟁을 일으킨 후 뇌공을 잡아 가뒀다. 그러던 어느 날, 집을 비우게 된 고비는 자신의 자녀들인 여와와 복희에게 “뇌공에게 물을 주어선 안된다.”라며 주의를 주었다. 하지만 마음이 고왔던 여와와 복희 남매는 아버지인 고비가 집을 떠난 이후 뇌공이 물을 한 방울만 달라고 부탁하는 모습에 그 부탁을 거절하지 못하고 솔에 물을 묻혀 뇌공의 입에 한 방울을 떨어뜨려줬다. 물이 있어야 힘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가졌던 뇌공은 그 물 한 방울에 힘을 얻어 자신을 가둔 쇠고랑을 부수고 밖으로 나왔다. 그러고서는 자신에게 물을 준 여와와 복희 남매에게 자신의 치아 하나를 빼주고 홍수로 세상이 물에 잠기기 전에 이것을 땅에 심어 나는 열매에 몸을 숨기라고 알려준 후 세상에 비를 퍼부었다. 무서웠던 여와와 복희 남매는 뇌공의 말대로 한 후 비가 그칠 때 까지 기다렸다. 그러다 비가 그쳐 열매에서 나와 보니 세상에 남은 인간은 단 한명도 없었으며 그런 상황은 길게 이어졌다. 그리하여 여와와 복희 남매는 성인이 된 이후 인류의 번창을 위해 하늘에게 자신들의 혼인을 허락 받게 되고, 그 후 부부가 되어 인류를 번창하게 만들었다.
이처럼 ‘여와’라는 인물은 중국 신화 속 여신으로 표현되기도 하며 ‘복희’라는 인물과 같이 남매이자 부부인 모습으로 표현되기도 하며 인류의 어머니로 나타난다. 그렇다면 ‘여와’라는 인물은 왜 이처럼 2가지 갈래로 나뉘어 표현되는 것일까? 그 이유는 바로 다음과 같다.
이는 시대의 흐름에 따른 ‘사회의 인식’에 따라 신화가 바뀌었기 때문이다. 우선 인류 창조의 어머니이자 여신으로 표현된 ‘여와’는 ‘복희’와 남매이자 부부로 표현되기 이전에 기록에 나타나 있는 모습으로서 ‘모계 사회적인 전통’을 나타내고 있으며 ‘복희’와 남매이자 부부로서 표현되는 모습은 ‘가부장제’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초기에는 모계 사회적인 ‘사회의 인식’이 중심이었다가 시간이 흘러 ‘가부장제’가 사회의 인식에 중심이 된 현실이 반영된 신화의 변화 흐름을 알 수 있다는 것이다.
2. '치우'와 '공공'

중국 신화에 따르면 인간 세상의 첫 지도자는 농업의 신 ‘염제’였으며 그의 뒤를 이은 사람은 중앙의 신이자 중국인들이 자신들의 시조로 여기는 인물 ‘황제’이다. 황제가 염제의 뒤를 이어 인간 세상의 지도자가 되는 과정은 그리 평화로운 과정이기만 하지는 않았다. 그 이유는 그 과정 속 지도자의 자리를 둔 쟁탈전, 즉 ‘전쟁’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황제가 인간 세상의 지도자의 자리에서 훌륭한 역할을 해내며 인간들에게 큰 칭송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황제를 몰아내기 위해 그에게 도전한 인물들이 있다. 그들이 바로 염제의 후손 ‘치우’와 ‘공공’이다.
‘치우’는 전쟁의 신으로서 중국 산동성 일대의 ‘구려’라는 신족의 지도자였다. 이러한 치우는 자연을 다스릴 수 있는 능력을 가진 72명 혹은 81명의 형제들과 함께 황제를 공격하기 시작하면서 ‘탁록전쟁’을 시작하였다. 탁록전쟁은 초반부터 중반까지는 치우가 주도권을 잡은 전쟁이었으며 형제들과 함께 하는 전쟁의 신인 치우를 황제는 두려워했다. 그리하여 황제는 치우를 이길 묘책을 끊임없이 고안해냈으며 그 첫 번째 방법은 가뭄의 신인 자신의 딸 ‘발’을 내세우는 것이었다. 황제는 치우가 비와 바람을 퍼붓는 공격에 자신의 딸 ‘발’을 내세워 가뭄이 들게 함으로써 방어하였다. 그 후, 황제는 동해의 유파산에 사는 외다리를 가진 소같이 생긴 천둥소리를 내는 괴물 ‘기’를 잡아 가죽을 벗겨 그 가죽으로 북을 만들었으며 용의 몸에 사람의 머리를 한 뇌수를 잡아 그것의 가장 큰 뼈로 북채를 만들어 북 소리를 내는 묘책을 사용했다. 그 북 소리는 천둥보다도 큰 소리였기에 치우는 정신을 못 차렸고 결국 탁록전쟁에서 패배하였다. 패배한 치우는 처형당하였고, 이때 튀긴 피가 단풍잎이 되었다는 신화도 있다.
또한 중국 신화에 따르면 치우의 생김새를 6개의 팔과 4개의 눈, 소의 뿔, 발굽, 금속으로 된 머리를 가졌다고 묘사함과 동시에 무시무시한 괴물과 같이 생겼다고 묘사하는데 이는 황제의 정당성을 위한 편파적인 묘사라고 한다. 그리고 치우는 현재 대한민국의 축구를 대표하는 이미지인 ‘붉은 악마’의 모티브가 된 인물이기도 하다.
이렇게 무시무시하던 탁록전쟁은 치우의 처형으로 끝이 나고, 평화로운 인간 세상의 나날들이 지속되고 있다가 황제가 어느 날 중앙 신의 자리를 ‘전욱’이라는 인물에게 주면서 이에 염제의 후손이자 물의 신인 ‘공공’이 반란을 일으키면서 또 다시 전쟁이 시작되었다. 공공이 반란을 일으킨 이유는 전욱이 세상을 다스리는 방법이 마음에 들지 않았으며 염제와 관련된 신들을 부당하게 대우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전욱을 대상으로 전쟁을 일으킨 공공은 전쟁에서 밀리는 형국을 보였다. 이대로 질 수 없다고 판단하여 하늘을 지탱하던 산을 머리로 받아 내려앉게 하였다. 이로 인해 해당 산은 시간이 흐른 후 ‘부주산’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으며 산이 무너지면서 땅이 기울어져 중국의 지형은 서북 지대가 동남 지대보다 높은 지형을 가지고 있다.
3. '백이'와 '숙제'

이번 중국 신화 시리즈의 마지막을 장식해 줄 마지막 신화는 ‘주무왕’의 충신이었던 ‘백이’와 ‘숙제’ 형제의 이야기 이다.
요임금과 순임금, 우임금이 순서대로 나라의 지도자로서 자리에 앉아 지혜로운 정치를 함으로써 태평성대가 이어지던 은나라는 폭군 ‘주왕’의 시대부터 태평성대가 깨지고, 백성들이 살기 힘든 나라가 되고 있었다. 이에 반란을 일으킨 자가 있으니 그가 바로 주나라를 세운 ‘주무왕’이다. 주무왕은 주왕으로 인해 백성들이 힘든 나날을 보내는 것을 더 이상 지켜볼 수만은 없어 주왕을 대상으로 반란을 일으키기로 결정하였다. 이때, 주무왕의 충신이자 현명하기로 유명한 학자 겸 당시 정치인이었던 ‘백이’와 ‘숙제’ 형제는 주무왕에게 신하가 임금을 치는 것은 옳지 못한 행동이라며 주무왕의 반론을 반대하였다. 이로 인해 주무왕의 눈 밖에 난 백이와 숙제 형제는 나라에서 추방당하였고, 주무왕은 그대로 반란을 시작하여 ‘주나라’를 세우기까지 성공하였다. 그리고 백이와 숙제는 그 이후 주나라의 곡식을 먹지 않기 위해 수양산으로 나아가 고사리만을 먹다가 생을 마감하여 후대까지 충신으로 유명한 인물들이 되었다.
이리하여 백이와 숙제 형제는 충신의 대명사로 불리게 된 것이다.
지금까지 ‘대륙의 신화들 총정리’라는 주제로 중국의 신화에 대해 알아보는 마지막 시간을 가졌다. 오늘 알아 본 ‘대륙의 신화들 총정리’라는 중국의 신화들은 각 세월의 흐름에 따른 사회적 인식이 무엇인지를 알려주었으며 ‘현대에 유래된 신화’와 같은 요소로 흥미를 돋아주는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신화는 이와 같이 동화와 같은 신비함으로 사람들의 즐거움이 되기도 하며 교훈을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중요한 역사적 기록으로써의 가치도 지니고 있는 존재이다. 즉, 신화는 곧 사료가 되기도 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사료를 통해 역사를 탐구하고 알아가야 할 것이며 왜곡해서는 안 될 것이다.
또한 중국은 수많은 신화를 보유한 국가로써 그 신화들을 조상들의 소중한 유산으로 여기며 더 이상의 역사 왜곡은 하지 말아야 한다. 역사 왜곡을 멈추고 다양한 신화들을 소중히 다룬다면 중국의 신비롭고 다양한 신화들은 더욱 빛날 것이다.
위홍신 대학생 기자 wi6733@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