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매도로 주가 빠지게 한다"는 비판에
국내 주식 비율 높인 국민연금
"스스로 원칙 깨 국민 노후 망친다" 지적

[금강일보 김미진 기자] 국민연금공단이 국내 주식 비중 상한을 1%포인트 높이기로 했다. 이에 계속됐던 국민연금의 국내 주식 순매도 행렬이 당분간은 멈출 것으로 보인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민연금은 최근 최고의사결정기구인 기금운용위원회를 열고 전체 자산 중 국내 주식 비율을 현행 기준보다 높이기로 결정했다.
전략적 자산 배분(SAA)을 고려한 국내 주식 비중 허용 범위가 목표치(16.8%)의 ±2%인데 ±3%으로 1%포인트 확대하기로 한 것이다.
기존에는 주가가 올라 국내 주식 비중이 18.8%를 벗어나면 매도를 해야 했지만 이제는 19.8%까지는 매도하지 않아도 되는 셈이다. 다만 적잖은 전문가들은 국민연금의 이번 행보를 곱게 보지 않는다. 원칙을 깨버렸다는 이유에서다.
한 지역 금융업계 관계자는 "올 들어 증시에서만 16조 원 가량을 팔았다.
국민연금은 주식을 매수하면 주가를 올린다고 욕을 먹고, 매도를 하면 주가를 빠지게 한다고 욕을 먹는다.
이번에도 '동학개미'들의 거센 반발이 있었으며 일정부분 영향을 미치지 않았나 싶다. 국민연금은 주가가 상승한 주식을 '중기자산배분'이라는 제도에 따라 원칙대로 판매해왔고 또 그래야만 한다"며 "국민연금이 망하면 국민들의 노후도 같이 망한다. 또한 초고령화 시대 진입 장벽이 너무나도 쉽게 무너지면서 오는 2040년 즈음에는 납입자보다 수혜자가 더 많아 저축을 해야하는 시점이고 목표 달성을 위해 주식의 비중을 조절해야 할 때인데 투자자들의 눈치를 보느라 그 자주성을 져버린 것 같아 실망스럽다"고 푸념했다.
또 다른 금융권 관계자도 정석적으로 움직일 수밖에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동학개미들의 반발에 떠밀려 국민 노후자금 운용 안정성을 훼손했다고 나무란다.
그는 "기금운용위원회는 동학개미들의 반응만을 고려한 것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국내 주식의 운용 허용 범위가 다른 자산에 비해 좁게 설정된 점, 최근 3년간 허용 범위 이탈 빈도와 규모가 증가하고 있는 점 등을 조정 이유로 꼽았지만 어떻게 보나 개인투자자들을 과도하게 의식해 내린 결정으로 보인다"며 "국내 주식시장 부양 수단 정도로만 생각하는 많은 개인투자자들의 몰이해적 판단, 제도 악용은 하루 이틀 일이 아닌데 언제부터 국민을 위해서 기준을 반드시 지켜야만 하는 국가기관이 단순 여론에 휩쓸려 투자 중단 여부를 결정하게 됐는 지 모르겠다"고 비꼬았다.
김미진 기자 kmj0044@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