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전문성 확보 위해 여러 기관 거론
모두 수도권 아닌 타 지역 위치해 반발
추진 주체인 정부 적극 개입과 맞물려
대전시 자체적으로 완벽한 논리 필요

<속보>=대전 벤처 생태계 활성화를 책임질 대전 본사 기업금융 전문은행의 원활한 초기 운영을 위해 관련 기관 유치가 선제돼야 하나 해당 기관이 위치한 자치단체의 반대가 심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긴밀한 협조와 뒷받침이 요구된다. <본보 17일자 1면 등 보도>
22일 대전시 등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과 이장우 대전시장 당선인의 공약에 나란히 이름을 올린 ‘대전 본사 기업금융 중심의 지역은행’은 실리콘밸리은행을 표방해 신산업 및 신기술 투자 및 육성에 방점을 찍고 있다.
기업금융 전문은행의 로드맵은 크게 한국벤처투자은행과 벤처금융지원센터(이상 가칭) 설립으로 나뉘는데 참신한 기술력을 지닌 기업의 자금조달·운용·중개 등은 전문은행이, 투자 여부를 결정하는 관련 평가 등은 센터가 담당하는 식이다. 기업금융 전문은행이 비슷한 성격의 산업은행과 큰 차별성을 지니고 있는 건 보다 공격적인 투자를 감행한다는 점인데 이를 뒷받침하는 게 센터다.
센터를 통해 기술의 잠재력 등 재무재표에 드러나지 않는 비재무재표를 평가, 투자를 감행해 유망 기업의 성장을 최대한 촉진시키는 형식이다. 이로 인해 기업금융 전문은행은 금융과 비금융 분야에서 남다른 정보력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지역에서 이에 걸맞은 인재를 수급하기엔 한계가 뚜렷하다. 기업금융 전문은행 설립 공약에서 다양한 기관의 유치가 언급된 것도 이 같은 이유다. 제20대대통령직인수위원회 대전·세종국민보고회 자료에 따르면 센터 물망에 오른 기관은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한국평가데이터, 창업투자회사, 신기술사업금융회사 등이다.
특수성을 지닌 은행을 뒷받침하기 위해 센터를 중심으로 해당 기관들이 모여 하나의 기업금융타운을 만들자는 게 골자다. 금융과 기업 등에서 전문성을 지닌 기관들이 한 데 뭉쳐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구축, 벤처 생태계의 성장을 극대화하겠다는 것이다.
관건은 타 지역의 반발을 잠재울 수 있는 정부의 적극적이면서 세밀한 소통이다. 센터로 거론된 해당 기관들은 수도권에 위치하지 않아 균형발전 차원이란 논리가 먹히지 않는다. 결국 정부의 개입 없이는 어떠한 결정도 내려질 수밖에 없는 만큼 기업금융 전문은행 추진 주체인 정부의 적극적인 주도로 시가 이를 뒷받침하는 형태로 센터로 거론되는 기관을 유치할 수 있는 논리 개발이 요구된다.
금융업 관계자는 “기업금융 지역은행은 이름만 지역은행일 뿐 설립 목적을 살펴보면 대전뿐만 아니라 지방 전체의 벤처 생태계 성장에 초점을 잡고 있다. 금융산업은 집적 효과가 중요해 기업금융 전문은행이 대전에 설립되면 관련 인프라의 이전은 필수다”라고 말했다.
신익규 기자 sig260@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