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현금없는 버스 전면 도입... 충청권 유일
“원활한 광역 교통 흐름 방해할라” 우려도

<속보>=대전시가 디지털 시대의 흐름을 반영해 현금없는 버스를 도입했으나 대전 외의 충청권에선 여전히 현금을 고집하고 있다. 일부 농어촌버스 등에선 현금 사용률이 높다는 이유에선데 이 같은 따로 노는 버스 결제 방식이 향후 있을 충청권 교통 일원화를 저해시킬 수 있다는 우려로 이어진다.<본보 2021년 6월 2일 3면 등 보도>
대전시는 내달부터 대전 내 모든 노선에 현금없는 시내버스를 시범 도입해 오는 10월부터 본격적인 운영에 돌입한다. 간선급행노선(BRT) 바로타B1 노선은 현금없는 버스를 시범도입했는데 시는 1년 만에 이를 전체 시내버스 노선으로 확대하기로 한 것이다.
이 같은 결정의 배경엔 현금승차 비율이 사실상 0%에 가깝다는 점이다. 대전 내 시내버스요금 현금 지불 이용률은 올해 1.5%대까지 떨어졌고 현금없는 버스를 시범운행한 바로타B1의 현금승차 비율은 2020년 1%에서 올해 0.03%대까지 줄었다. 현금 결제의 경우 유지 비용만 연간 1억 5000만 원이 들기 때문에 현금없는 버스의 전면 도입은 사실상 시류인 셈이다.
시 관계자는 “교통카드 이용 시 요금 할인과 3회 무료 환승 혜택 등 경제성과 편리성을 챙길 수 있고 현금수입금함 운영으로 인한 관리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과 인천에 이어 대전에도 현금없는 버스가 자리 잡을 예정이나 충남·충북 등에선 감감무소식이다. 그나마 세종에선 BRT 노선에 현금없는 버스의 시범운행을 실시했으나 이마저도 전면 확대는 검토하지 않고 있다. 대전 이외의 충청권 3개 시·도엔 아직 현금을 더 선호하는 어르신이 많아서다. 세종의 경우 아직도 현금 사용률이 1%에 달하고 농어촌버스에선 무려 20% 수준으로 급상승한다.
일각선 자칫 다른길을 걷고 있는 버스요금 결제 방식이 충청권의 교통 흐름을 방해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한다. 충청권 메가시티 구축이 가시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연계가 원활한 교통망 공조가 이뤄져야 하는데 지역마다 다른 현금 결제 방식은 이용객에게 혼란을 일으킬 수 있다. 메가시티의 핵심 과제는 접근성 해소에 방점을 찍고 있는 만큼 광역교통망의 편의 향상을 위해서라도 결제방식의 통일성이 시급하다.
충청권 자치단체 관계자는 “어찌됐든 자치단체는 지역민의 편의가 최우선 돼야 한다. 우선 타 지역에서 현금없는 버스 안착이 일정부분 이뤄지고 나서야 내부 논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신익규 기자 sig260@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