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신규 산단 조성 관련 용역 발주
전북 등 4개 지역도 포함...우선순위 경쟁 불가피

윤석열 대통령의 대전 지역공약인 충청권 상생협력 국가산업단지 조성 계획이 첫 발을 내디뎠다. 정부가 이와 관련해 첫 행정절차를 실시한 것인데 대전과 세종·충북이 함께하는 초광역협력 사업인 만큼 메가시티 차원에서의 기여도도 상당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윤 대통령은 대전 외의 지역에도 신규 산단 조성을 약속한 만큼 우선순위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한 경쟁은 불가피해 보인다.

국토교통부는 최근 지역 주력산업 경쟁력 제고 관련 산업거점 조성방안 연구 용역을 발주했다. 각 지역별 산업단지의 개발 현황과 사업 추진 과정 등을 분석하고 자치단체가 건의한 국가산단 조성안을 세부적으로 검토하는 게 골자다. 국가산단의 적합성과 입지, 규제, 주력산업의 전망 등을 따져 국가산단의 조성이 합당한지 알아보고 사업 후보지를 도출하겠다는 거다. 용역은 윤 대통령 공약의 연장선이기도 하다. 앞서 윤 대통령은 수도권 양극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지역이 육성하고자 하는 산업을 기반으로 신규 국가산단을 조성하겠다고 공약했다.

특히 일부 지역은 국가산단의 주력산업을 콕 집어 언급했는데 충청권엔 바이오 헬스를 기반으로 하는 상생협력 국가산단 조성을 약속했다. 당시 윤석열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사업비 4조 8000억 원을 들여 대전 유성구 금탄동과 동구 대동, 세종 부강면 노호리, 충북 청주 현도면 죽전리 일원 등 대전과 세종, 충북 접경지역을 하나의 공간으로 묶어 국가산단으로 조성하겠다고 발표했다. 세 지역이 함께 공존하는 국가산단을 만들어 바이오 헬스 분야의 공동 육성을 도모하겠다는 것이다. 아울러 국가산단의 조성지가 경부고속도로·경부선 등이 교차하는 광역교통 요충지인 만큼 이 같은 강점을 활용한 스마트 그린산단으로 조성하겠다고 계획했다.

충청권 자치단체 관계자는 “메가시티 구축이 가시화되고 있는 가운데 충청권이 함께 상생협력을 갖출 수 있는 국가산단이 조성된다면 그 시너지 효과는 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충청권 상생협력 국가산단이 K-바이오랩허브 유치 실패의 아쉬움을 달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나 삽을 뜨기 전까진 험난한 조성이 예상된다. 윤 대통령이 후보 시절 대전뿐만 아니라 경북과 경남, 전북 등에도 각기 특화된 산업에 방점을 찍고 있는 국가산단 조성을 예고해서다. 대전 외에도 다양한 지역에서의 국가산단 조성이 약속된 데다 국토부는 지역별 국가산단의 적합성을 따져보고 있는 만큼 충청권의 신규 국가산단 조성이 후순위로 밀릴 가능성도 존재한다.

신익규 기자 sig260@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