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 인상에 반발 심야 할증 요구
“사회적 비판, 부정적 여론 커 어려워”

사진= 연합뉴스
사진= 연합뉴스

“전날 매출이 12만 3500원이었어요. 오늘 오전 11시까지는 5만 원어치도 못 팔았습니다.”

대전 서구 월평동에서 만난 한 편의점 점주의 하소연이다. 인건비를 줄이기 위해 심야에는 무인점포로 운영을 하고 있지만 그러면 술과 담배를 팔 수 없는데다 높은 연령층의 손님은 이용을 꺼려 매출 상황이 좋지 않다는 게 그의 토로다.

코로나19로 영업환경이 악화된 가운데 최근 내년도 최저임금 5% 인상이 결정되자 편의점 점주들이 심야 할증제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유통업계에선 가맹점주들의 절박한 상황은 이해가 되지만 국내외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본사의 시스템 지원 없이는 어려운 일이라 실제 행동으로 옮기기엔 어렵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GS25와 CU, 세븐일레븐, 이마트24의 가맹점주(경영주)협의회로 구성된 전국편의점가맹점협회(이하 전편협)는 최근 편의점 본사에 심야 할증제를 요구하기로 했다.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인건비 부담을 더는 버티기 어렵다는 배경에서다. 내년에 적용되는 최저임금은 올해보다 5% 오른 시간당 9620원이다. 전편협은 앞서 지난 2018년에도 최저임금 인상 반발 카드로 심야할증을 꺼내든 바 있다.

만약 전편협이 편의점 본사들과 협상을 통해 심야할증제를 도입하면 충청권을 포함한 전국의 모든 편의점은 가맹사업법 시행령에 규정된 심야 영업시간에 따라 0시부터 오전 6시까지 물건값이 5% 비싸진다. 전편협은 편의점 본사에 심야 무인 운영 확대를, 정부에는 주휴 수당 폐지를 각각 요구할 계획이다.

다만, 업계에선 부정적 여론을 인식하며 실현 가능성이 낮다고 전망한다. 지역 한 편의점 가맹본부 관계자는 “유통채널에서 특정 시간대 할증 요금을 받는다는 게 전례가 없고 물가도 고공행진하고 있어 사회적인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점주들의 상황은 백 번 이해하지만 본사 시스템이 바뀌거나 지원할 수 있는 예산이 책정되지 않으면 매우 힘든 일이다. 이전에도 심야 할증 요구가 있었음에도 무산됐는데 심지어 지금은 코로나19 시국이라 가능성이 더 희박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미진 기자 kmj0044@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