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앞두고 물가 5% 넘나... "9∼10월 정점“

연합뉴스
연합뉴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를 넘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 8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1∼7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9% 올랐다. 이는 해당 기간 물가 평균을 전년도 같은 기간 물가 평균과 비교한 전년 누계비 기준이다.

전년 누계비 변동률은 올해 1월과 2월 3.6%에서 3월 3.8%, 4월 4.0%, 5월 4.3%, 6월 4.6%로 점점 높아지고 있다. 전월 대비 상승률로 보면 올해 1∼6월에 매달 0.6∼0.7%를 기록했다. 지난달은 0.5%로 소폭 둔화했다.

앞으로 남은 올해(8∼12월)에 전월 대비 상승률이 매달 0%를 기록한다면, 올해 연간 물가 상승률은 4.97%가 된다. 물가가 전월과 같거나 하락하지 않는 이상,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를 넘을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연간 물가 상승률이 5%를 넘은 건 외환위기였던 1998년(7.5%) 이후 없었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친 2008년도 4.8%였다.

전문가들은 올해 물가 상승률이 5%를 넘길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에너지·식료품 등 공급측 요인으로 시작됐던 물가 상승세가 서비스 등 전방위로 확산해 고물가가 굳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원유 등 국제 원자재 가격이 하락한 점이 이러한 예측을 뒷받침하고 있다. 우크라이나산 곡물 수출이 재개되면서 유엔 식량농업기구(FAO)가 발표한 7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14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전월보다 하락하는 등 곡물 가격 안정도 기대 요인이다.

다만 근래 불거진 중국·대만과의 갈등은 공급망 차질과 국제 금융시장 불안 등을 유발할 수 있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도 지켜봐야 할 변수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7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전월(3.9%)보다 0.8%포인트 오른 4.7%였다.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08년 이후 최고치일 뿐만 아니라 전월 대비 상승 폭도 최대다.

이는 임금 상승, 서비스 요금 상승 등으로 이어져 물가 상승세를 부추길 수 있다. 이에 정부가 기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주문이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