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라 구축 지원만으론 한계 뚜렷
예술인 소통·협력 환경 조성 필요
지원 패러다임 전환해야 시너지 창출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대전지역 문화예술 진흥을 위해선 하드웨어적인 지원과 소프트웨어적인 지원이 균형감 있게 병행 추진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그간 대전지역 지자체의 문화예술계 지원은 시설·공간 구축 등 하드웨어 구축에 편중된 양상을 보이는데 이 같은 지원과 더불어 문화예술인들이 소통하고 협력하면서 자생적으로 지역 문화예술 생태계를 발전시켜 나갈 수 있도록 돕는 지원 시스템도 더 고도화돼야 한다는 거다.

이장우 시장은 최근 열린 주간업무회의에서 2002 대전 세계지방정부연합(UCLG) 총회와 0시 뮤직페스티벌 성과를 언급하면서 “시민과 함께하는 축제에 지역 문화예술인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장을 높여야 한다”며 “시와 자치구가 조성한 각종 공연장을 정비해 특성에 맞는 공연을 수시로 열어 시민이 문화예술을 즐길 수 있게 만들라”고 강조했다. 

이 시장의 지역 문화경제 활성화를 위한 주문은 이 뿐만이 아니다. 당선인 시절 대전예술인 중심 문화예술 허브를 공약으로 내세웠고 최근에도 지역예술지원 활성화 등을 위한 대전 출신 화가 미술관 건립을 시사하기도 했다.

문화예술계는 이 같은 민선8기 문화예술 진흥 의지에 의미를 부여하면서도 행정적 지원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각종 공연장이나 창작센터 지원, 미술관 건립 등 하드웨어적인 지원만으론 지역 문화예술계가 활성화될 수는 없다고 지적하면서 기존 예술가 지원 정책이 하드웨어적인 측면만 강조돼 온 한계가 있는 만큼 이를 개선해야 한다는 거다.

이들은 지역 예술가의 사회적 네트워크를 활성화시켜 상호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이자 문화예술계와 정부, 관련 단체 등이 소통·협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주장한다. ‘문화 클러스터’와 같은 예술인 소통·협업 환경을 조성하고 시가 이를 정책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부연한다. 

이들이 제시한 문화 클러스터는 단순히 공간을 이용한 전략적 개념을 넘어 예술창작 공동체를 형성하고 이들이 상호작용을 통해 창작활동은 물론 도시재생에까지 기여하는 소프트웨어적인 강점을 극대화하는 전략인데 전문가들은 문화 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예술인의 활동 주무대인 원도심 활성화도 동시에 꾀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육동일 충남대 명예교수는 “우선 문화전략과 도시계획이 통합적으로 추진되지 않는 만큼 이를 개선하는 행정적 보완이 필요하다. 문화 클러스터 조성을 위해선 문화지구 지정 대상에 문화 클러스터를 포함한다는 법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며 “정부는 유연한 정책운영으로 예술인을 지원하고 문화단체는 예술가와 지역주민 사이에 가교 역할을 맡아 소통과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 관계자는 “원도심문화예술인행동 등 지역 예술가들과 긴밀하게 소통해 시책에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신성재 기자 ssjreturn1@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