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반도체 기술 분야에 대한 분석 보고서 ‘학술논문 데이터로 본 글로벌 반도체 기술 패권 경쟁’을 발간했다.
KISTI는 학술논문 데이터베이스인 Web of Science의 2457개의 인용주제 가운데 반도체 기술 관련 인용주제 100선을 선정하고 지난 2021녀까지 출간된 192만 6890건의 논문을 대상으로 주요국의 연구 수준과 국제협력 현황을 분석했다. KISTI는 미국과 중국의 기술패권 경쟁 상황에 집중해 반도체 관련 분야 연구의 각 인용주제별 미·중 경쟁 구도를 분석했다.
전체 논문 수 비교에서 미국은 1기(2000-2005년)와 2기(2006-2010년)에 1위였으나 중국이 3기(2011-2015년)에 미국을 추월해 1위로 올라섰다. 중국은 피인용 상위 10% 내의 논문 수 비교에서도 4기(2016-2021년)에 1위를 차지하며 연구 규모의 양적 성장과 더불어 질적 측면에서도 괄목할만한 성장을 보였다.
연구진은 논문에서 추출한 기술분류 임베딩 정보를 바탕으로 문헌의 클러스터링과 매핑 분석을 수행하여 반도체 관련 연구 분야의 글로벌 연구지형을 도출하고, 활동도 지수와 영향력 지수를 결합해 각국의 강점 연구 분야를 제시했다.
미국은 100개의 인용주제 가운데 50개가 넘는 인용주제가 피인용 상위 10% 영향력 지수와 활동도 지수 모두 기준보다 상위인 강점연구영역(1사분면)에 위치해 전반적으로 매우 우수한 수준을 보였다. 특히 장기간의 투자와 집중이 필요한 분야들인 ‘반도체 설계 및 제작’, ‘반도체 물성’ 분야의 연구 주제 위주로 강점을 보였다. 한국은 반도체 관련 기초 연구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연구 규모와 수준이 성장하고 있지만,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성장은 다소 부족한 것으로 분석됐다.
박정환 기자 pjh@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