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인가구 평균 1만 1200원 인상 예정
서민가정·중소기업 등 시름

가스비에 이어 전기료 폭탄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지난해 폭등한 공공에너지 원자재값의 영향과 공공요금 연속 인상 효과가 나타나서인데 지역민과 자영업자들의 시름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설상가상 에너지비용이 한동안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만큼 요금지원을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2일 한국전력공사에 따르면 이달 발급되는 지난달 사용분의 전기료는 평균적인 4인 가구(겨울철 월평균 사용량 304kWh) 기준으로 전년동기 동기 대비 1만 1200원 오를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 1년 새 전기료가 4만 5350원에서 5만 6550원으로 약 25.7% 증가한다. 이달 부과될 예정인 1월 사용분에 대한 관리비는 한파와 각종 공공요금 인상으로 지난달보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체 관리비에서 차지하는 4인 가구 기준 전기료 인상분(1만 1020원)은 4% 수준일 것으로 관측된다. 아울러 기초생활수급자 등 취약계층(월 사용량 297kWh)에 부과되는 1월 사용분 전기료는 지난해 2만 5660원에서 올해 3만 2170원으로 1년 새 월 부담액이 6510원 늘어난다.
이번 전기료 폭등은 kWh(킬로와트시)당 전기료가 지난해 세 차례(4·7·10월)에 걸쳐 19.3원, 올해 1월 13.1원 오르며 총 32.4원 인상된 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더욱이 글로벌 국제유가 및 에너지원자재값이 장기간 상승세를 이어왔다는 점도 무시할 수 없는 요소다.
고물가와 고금리 기조 속 팍팍한 삶을 살아가고 있는 시민들은 한숨을 내쉬고 있다.
대전 서구에 거주하는 김 모(35) 씨는 “허리띠를 졸라매도 하루하루 살아가는 게 팍팍한 상황이다. 지난달 가스비와 전기료가 예년보다 몇 만원 더 나와 놀랐는데 이번달엔 얼마가 나올까 걱정이 앞선다. 월급은 그대로인데 생활에 필수적으로 지출하는 돈이 점점 많아지니 한숨만 나온다”고 말했다.
지역 경제계도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전기료와 가스비 상승으로 인해 공정중 전기 수요가 많은 철강재 및 시멘트 등 원자재가격이 오를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대전의 한 기업단체 관계자는 “시멘트의 경우 앞서 몇차례 가격이 올랐고, 철강재도 종류별로 가격인상 조짐을 보이고 있다. 더욱이 지난해 태풍으로 포스코 공장 가동에 차질이 발생한 것과 겹쳐 원자재값 상승을 부추길 수 있다. 경기침체와 물류비 상승 등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 지역 중소기업체들의 원가부담이 더욱 가중될 것이다. 사회주체별로 전기료를 차등적용하거나 전기요금 지원대책을 늘리는 등 해법 마련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박정환 기자 pjh@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