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재난지역 돕겠다더니 책정가 너무 낮아” 편입용지 보상 난항으로 착공 1녀7ㄴ째 답보상태
대전지방국토관리청이 추진하는 태안-원청 간 국도 77호선 확포장사업이 착공 1년이 지나도록 편입용지보상 난항으로 답보상태에 빠져 있어 대책이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다.특히 이 사업은 정부가 서해안 기름유출사고 발생과 관련 태안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함에 따라 재난지역 숙원사업 해결 및 경제 활성화의 일환으로 조기착공한 사업이지만 발주청의 준비부족 등으로 사업은 한 발짝도 나가지 못하고 있다.공사감리책임자에 따르면 원청-남면 간(1공구) 도로는 편입용지가 사유지인 데다 보상협상이 전혀 안 되는 바람에 지난해 4월 30일 착공했지만 아무런 공정도 추진하지 못하고 있다.또 태안-남면간(2공구) 도로 역시 사유지인 도로편입용지 보상협상은 이뤄진 게 없고 다행히 일부분 편입용지가 도로, 하천등 국유지여서 암거 2개소 구조물공사만 진행하고 있다. 문제는 편입용지 보상비가 실제 토지소유자가 요구하는 가격과 차이가 크다는데 있다.발주청은 감정가 보상을 주장하는 반면 토지소유자는 현지에서 거래되는 실거래가 보상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주민들은 “정부가 재난지역을 돕겠다고 조기 착공한 사업인데 토지보상가를 턱없이 낮게 책정한 것은 잘못”이라며 “현지 시세에 맞는 적정보상을 해야한다”고 주장했다.감리단은 “도로편입용지 필지별 보상가를 책정 지난 6월 보상공고를 했지만 단 한 건도 보상은 이뤄지지 않았다”면서 “시간적 여유를 갖고 보상협상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한편 대전지방국토관리청은 국도 77호선 원청-남면(1공구) 간 7.1㎞에 230여억 원, 남면-태안(2공구) 간 7.4㎞에 220여억 원을 각각투입, 4차로 확포장사업을 2014년 4월 완공 목표로 지난해 4월 착공했지만 도로편입용지 보상 난항으로 답보상태에 빠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