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빙 1일부터 프로야구 생중계 유료 전환
스포츠팬 79% 유료 중계 이용료 '부적절'

사진= 티빙
사진= 티빙

국내 OTT 플랫폼 티빙이 1일부터 국내 프로야구 생중계를 유료로 전환한 가운데 스포츠 팬들의 원성이 쏟아지는 모습이다.

티빙은 지난 3월 프로야구 중계권 확보를 위해 1350억 원을 투자, 올해부터 내후년까지 정규·포스트시즌, 올스타전 등 KBO 전 경기와 주요 행사 국내 유무선 생중계, 하이라이트 등을 재판매할 수 있는 사업 권리를 2026년까지 보유하게 됐다. TV 중계를 제외하면 프로야구 생중계를 시청할 수 있는 곳이 티빙밖에 없다는 얘기다.

문제는 티빙이 1일부터 프로야구 생중계를 유료로 전환하면서다. 티빙은 지난 3월 9일부터 지난달까지 야구 팬들의 플랫폼 유입을 위해 프로야구 생중계 무료 시청 이벤트를 진행했다. 그러나 이달부터는 최소 월 5500원의 요금제를 구독해야 프로야구 생중계를 볼 수 있게 됐다.

티빙 입장에서는 적자를 메꾸기 위한 전략이지만 야구 팬들 사이에서는 불만의 목소리가 쏟아진다. 네이버가 2006년부터 프로야구를 무료로 생중계해온 것에 따라 반감이 커질 수 밖에 없다는 의미다.

지난달 17일부터 21일까지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가 20~60대 스포츠 중계 시청자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스포츠 스트리밍 유료화와 시민 시청권 관련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들의 77.9%가 스포츠 스트리밍 유료화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응답자 79.5%는 제공되고 있는 스포츠 스트리밍의 가격이 부적절하다는 답변을 내놨다.

특히 유료 스포츠 스트리밍 이용경험은 쿠팡플레이가 67.2%로 가장 많았으며 티빙과 스포티비가 각각 45.5%, 44%로 뒤를 이었다. 다만 만족률은 쿠팡플레이가 81.0%로 가장 높았으며 스포티비는 65.0%, 티빙은 58.4%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절반이 넘는 야구 팬들이 유료 시청에 불만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다.

한화이글스 팬 A 씨는 “최근 몇 년간은 야구를 무료로 볼 수 있었다 보니 유료화에 거부감이 든다. 야구 보는 데 커피 한 잔 값만 아끼면 된다지만 요즘은 티빙만 구독할 수 없다보니 금액적으로도 부담이 된다”며 “특히 서비스 품질적인 측면에서는 무료 시절보다 나은 점을 모르겠다. 하이라이트만 봐야하나 싶기도 하다”라고 말했다.

이재영 기자 now@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